“통일부와 탈북민 대상 사이버공격 증가”

0:00 / 0:00

앵커 : 한국의 치안종합 연구기관이 최근 한국 통일부와 탈북민을 겨냥한 해킹 시도가 늘어났다면서, 대북제재로 인해 북한의 사이버 공격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경찰대의 치안정책연구소가 최근 발간한 '치안전망 2020' 보고서(사진)에 따르면, 탈북민의 정착지원 업무를 담당하는 통일부를 대상으로 한 사이버 공격이 매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2014년부터 2019년 7월까지 통일부를 대상으로 한 북한 추정 사이버 공격 시도 현황은 1천841건으로 확인됐습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이버 공격 시도는 2015년 172건, 2016년 260건, 2017년 336건, 2018년 630건으로 해마다 급증했으며, 3년 간 연평균 56% 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2019년 7월 사이버공격 유형을 살펴보면, 통일부 개인용 컴퓨터를 감염시켜 정보를 탈취할 수 있는 악성코드 공격은 2018년 동기대비 4.5배 증가했고, 탈북민의 정보수집이 가능한 ‘시스템 정보 수집’도 2018년 동기 대비 2.5배 증가했습니다.

정보 유출과 파기가 가능한 웹 해킹은 2018년 동기대비 11배 급증해 통일부 정보 보안시스템의 취약점을 드러냈습니다.

앞서, 이낙연 한국 국무총리도 지난해 9월 국회에 출석해 여전히 북한의 대남 사이버 해킹이 지속되고 있다며, 북한의 해킹으로 의심되는 사례가 몇 건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낙연 국무총리 : 최근 뿐만 아니라 이제까지 그런(북한) 해킹으로 의심되는 사례가 몇 건이 있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러면서 보고서는 최근 북한의 대남 공작기구가 사이버테러 조직을 동원해 탈북민의 신상정보 탈취에 주력하는 이유는 탈북민의 김정은 3대 세습체제 비판 등을 체제위협 요인으로 인식한 조치로 풀이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탈북민의 정보해킹, 신변위협, 보복테러의 위협 수위가 높아지는 등 탈북민 신변보호 업무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신변보호 담당관이 맡고 있는 탈북민 위장 간첩 색출, 재입북 및 해외위장 망명 탈북민의 예후 확인과 차단, 범죄와 범죄피해 예방 활동 등의 수요가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특히 보고서는 올해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유지되고, 북한의 자금난이 심각해지면서 전 세계 금융기관과 은행 등 경제 분야에 대한 공격은 더 한층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보고서는 한국 금융 당국이 북한의 다양한 형태의 사이버 해킹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의 민간 보안업체 이스트시큐리티(ESTsecurity)의 문종현 이사는 10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탈북민에 대한 물리적 신변보호 뿐만 아니라, 사이버 위협에 대한 보호를 위한 다양한 보안 교육과 해킹 예방 캠페인이 필요하다”며 “탈북민과 유관 단체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이 절실하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이번 보고서는 남북관계가 올해 4월 한국 총선, 7월 일본 도쿄 올림픽, 미국 대선 11월 등 국내외 정치 일정에 따라 크게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면서 보고서는 북한이 2019년 말까지 협상을 마감할 것이라고 선포했기 때문에, 2020년 3월 전까지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 상태는 최고조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