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이산가족 교류 재개 노력…남북합의 이행 중요”

0:00 / 0:00

앵커 : 한국 통일부는 이산가족 교류 재개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이와 관련한 남북간 합의가 조속히 이행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통일부는 5일 남북간 가장 시급한 인도적 사안은 이산가족 문제라며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종주 한국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기자설명회에서 이같이 밝히며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 해결은 지난 2018년 9월 평양정상회담에서 남북 정상이 합의한 사항이기도 하다고 말했습니다.

또 화상상봉, 영상편지 교환, 상설면회소 개소 등 관련 합의가 조속히 이행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종주 한국 통일부 대변인 : 남북 정상은 화상상봉과 영상편지 교환, 남북 간 상설면회소 개소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산가족 교류를 진전시키기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합의사항이 조속히 이행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총비서는 지난 2018년 9월 평양정상회담에서 적십자회담을 통해 이산가족의 화상상봉과 영상편지 교환 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해나가기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

이종주 대변인은 적십자회담 등 관련 회담이 빨리 재개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남북대화 재개 여건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더해 코로나19, 즉 신형 코로나바이러스(비루스) 등으로 인해 대면 상봉이 어려워지고 비대면 상봉 시설의 필요성이 커졌다며 전국에 화상상봉장을 추가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북한이 한국의 대화 제의에 응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독자적으로 할 수 있는 부분부터 준비를 하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그러면서 한국의 기존 화상상봉장 13곳은 수도권에 집중돼있기 때문에 6곳에서 7곳의 지방 화상상봉장을 증설하기 위한 조치를 준비 중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통일부는 아울러 이번달 6일부터 10월 말까지 이산가족 찾기 신청자 4만 8천여 명과 신규 신청자를 대상으로 남북 이산가족 실태조사를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남북 이산가족의 생사 확인 및 교류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매 5년마다 실시돼온 이 조사는 2011년과 2016년에 이어 올해가 세 번째입니다.

통일부는 이번 조사를 통해 이산가족 개개인의 신상정보를 확인하고 이산가족 상봉 미신청자를 발굴하는 한편 이산가족들이 바라는 교류 방식에 대한 의견을 수렴할 계획입니다.

조사 결과는 오는 10월 중 발표될 예정입니다.

앞서 백악관은 지난 2일 성명을 통해 한미일 세 나라의 안보 수장들이 메릴랜드 아나폴리스 해군사관학교에서 가진 회담 중에 남북 이산가족 재회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했다고 전한 바 있습니다.

한국 통일부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2월 28일 기준 이산가족 상봉을 신청한 사람은 모두 13만3409명이며 이 가운데 생존자는 약 37%인 4만8887명입니다. 생존자들 대부분이 고령으로 90세 이상은 29%, 80대는 38%입니다.

남북 이산가족 상봉은 지난 2018년 8월을 마지막으로 현재까지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