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국군포로 가족, 유엔에 진정서 제출

0:00 / 0:00

앵커 : 한국으로 탈북한 한국전쟁 국군포로 가족들이 한국전쟁 발발 70주년을 맞아 유엔에 진정서를 제출했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으로 탈북해 살고있는 한국전쟁 국군포로 가족들로 구성된 6.25국군포로가족회.

단체의 손명화 회장은 22일 자유아시아방송과의 통화에서 전날인 21일 북한에서 돌아오지 못한 국군포로 4명과 자녀 1명에 대한 진정서를 유엔에 제출했다고 밝혔습니다.

현재까지 한국의 전시 납북자 가족들은 유엔에 진정서 150건을 제출했지만, 국군포로 가족들이 진정을 낸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한국 내 국군포로 가족들과 지인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작성된 진정서는 유엔의 강제실종실무그룹(WGEID), 비사법적처형 특별보고관, 노예문제 특별보고관. 고문문제 특별보고관 앞으로 제출됐습니다.

손명화 회장은 북한 당국이 국군포로들과 그 가족들을 ‘최하층 주민’으로 분류하고 정치범 수용소에 가두는 등 인권을 침해한 것에 대해 사과해야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 정부도 국군포로의 명예회복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은 것에 대한 책임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손명화 6.25국군포로가족회 회장: 북한에는 우리 아버지들을 평생 노예로 부려먹고 그 자식 마저도 평생 43호라는 딱지를 붙여놓고 (차별한 것에 대해) 당연히 우리에게 사과를, 또 대한민국도 국군포로를 덮어두려고 하니까 아버지들의 명예를 회복해달라…

손 회장은 이번에 국군포로로서 수십년 간의 강제노동 끝에 사망했다고 밝힌 아버지 손동식 씨에 대한 진정을 냈습니다.

진정서 제출을 도운 인권조사기록단체 전환기정의워킹그룹의 신희석 법률분석관은 이날 자유아시아방송과의 통화에서 국군포로 문제를인정하지 않는 것이 북한의 관행이지만 이러한 태도를 바꾸기 위해서는 한국 정부의 노력이 필수적이라고 제언했습니다.

신희석 전환기정의워킹그룹 (TJWG) 법률분석관: 한국 정부가 피해자들의 국적국이니까 한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야죠 사실. 쉽게 해결이 안되는 사안이긴 하지만 이걸 최우선 순위로 삼아서 노력해야지 북한의 태도를 바꿀 수 있습니다.

앞서 북한은 지난해 5월 유엔 인권이사회의 보편적 정례인권검토(UPR)에서 한국 정부가 제안한 다섯가지 권고 중 유일하게 국군포로, 납북자 문제 해결은 수용하지 않은 바 있습니다.

유엔북한인권조사위원회는 지난 2014년 발표한 보고서에서 북한이 최소 5만명의 한국군 포로들을 돌려보내지 않았고 그 중 약 500명이 생존해 있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