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실무그룹 “북에 실종 주민 7명 정보공개 요청”

0:00 / 0:00

앵커 : 유엔 인권전문가들이 북한 당국에 실종됐다고 알려진 북한 주민 7명에 대한 정보 공개를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2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산하 ‘강제적∙비자발적 실종에 관한 실무그룹(WGEID: Working Group on Enforced or Involuntary Disappearances)’의 제120차 정기회의.

최근 공개된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실무그룹은 이 회의에서 북한 주민 7명의 강제실종 관련 질의서를 북한에 보내기로 결정했습니다.

해당 북한 주민들은 모두 당국에 의해 체포된 후 행방불명 됐다고 알려졌으며 체포된 시기는 197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다양했습니다.

특히 1983년 중국 북경에서 체포돼 북한 사회안전부로 신병이 인도됐다고 알려진 임용선(Lim Yong-Seon) 씨에 대한 사건 문서 사본은 중국 정부에도 전달됐습니다.

실무그룹은 또 보고서에서 북한 당국이 전달된 강제실종 사건들에 대해 동일한 답변을 보내오는 등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이는 한편 실무그룹이 편파적이고 정치적 음모에 가담하고 있다며 비방하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서울 유엔인권사무소 측은 이날 자유아시아방송과의 통화에서 이 7명에 대해 유엔에 진정서를 제출한 주체와 시기는 기밀 사안(confidential information)으로 밝힐 수 없다고 전했습니다.

이와는 별도로 한국 내 국군포로 가족들과 전시 납북자 가족들은 유엔에 공개적으로 진정을 낸 바 있습니다.

한국의 6.25국군포로가족회는 지난 21일 북한에서 처형 또는 실종됐다고 알려진 국군포로 4명과 자녀 1명에 대한 진정서를 유엔에 제출했습니다.

또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는 2012년부터 여섯 차례에 걸쳐 전시 납북자 150명에 대한 진정서를 유엔에 제출해왔으며 유엔은 그 중 120명에 대한 질의서를 북한에 발송했습니다.

그러나 북한 당국은 이들의 존재를 부정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최유경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국제팀장: 북한의 회신을 보면 낱말만 다르고 내용은 같거든요. 납북 자체를 부정하고 '다 날조된 거짓말이다, 북한을 음해하는 공작이다' 이렇게 주장하고 있어요.

앞서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는 지난 25일 한국전 70주년을 맞아 성명을 내고 납북 피해자들의 송환과 신원 공개를 촉구하며 “북한이 모든 납치자와 실종자들의 소재를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 진정한 협력을 시작할 때”라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