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지난 2015년 서울에서 문을 연 유엔인권사무소가 개소 5주년을 맞아 공개한 보고서를 통해 5000건 이상의 북한 인권 침해 사례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오는 23일 개소 5주년을 맞는 서울 유엔인권사무소가 최근 ‘서울 유엔인권사무소 5년’이라는 보고서를 내놨습니다.
유엔인권사무소는 17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탈북민들과 북한인권 단체들은 북한 인권 상황을 알리고 이를 기록하는데 선구적인 역할을 해왔다”며 “서울 유엔인권사무소는 5년 동안 이들의 용기, 전문지식, 헌신의 도움을 받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유엔인권사무소는 북한 인권 침해사례는 반인도 범죄이기 때문에 이에 대해 시급히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번에 공개된 보고서에는 지난 5년 간 서울 유엔인권사무소가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해 진행한 활동들이 정리돼 있습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유엔인권사무소는 개소 이후 5000건 이상의 북한 인권 침해 사례를 기록했고 이를 위해 탈북민 397명을 대상으로 면담 조사도 진행했습니다.
유엔인권사무소 개소 이후 5년동안 정기보고서 7건을 포함한 총 9건의 유엔 공식 보고서가 발간됐다는 내용도 강조했습니다.
유엔인권사무소는 개소 이후 현재까지 6명의 북한 당국자들이 방콕과 제네바에서 인권 문제와 관련 기구에 대해 교육, 훈련을 받았다는 내용도 해당 보고서에 담았습니다.
특히 북한 당국이 지난 5년동안 모두 4차례에 걸쳐 유엔에 자체적인 인권 상황을 검토한 보고서를 제출했다는 점도 언급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당국은 지난 2016년 4월 유엔 아동인권위원회와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철폐위원회에, 그리고 지난해 5월과 12월 각각 유엔 인권이사회 보편적정례인권검토(UPR)와 장애인인권위원회에 보고서를 제출했습니다.
유엔인권사무소는 북한 인권 개선 활동을 하는 시민사회 등 관계자들이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 훈련을 받았다는 점도 보고서를 통해 언급했습니다.
서울 유엔인권사무소는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가 발표한 최종 보고서의 권고에 따라 지난 2015년 6월 문을 열고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