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3차 남북 정상회담을 지켜본 한국 내 북한인권단체들과 탈북자들은 북한 인권 문제가 다뤄지지 않은 데 대해 실망감을 나타냈습니다. 특히 북한에 억류 중인 한국 국민 6명의 송환이 이뤄지지 않는 것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 보도합니다.
한국 내 북한인권단체들과 탈북자들은 이번 3차 남북 정상회담에서도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한 조치들이 없었다며 아쉬움을 나타냈습니다.
이영환 전환기정의워킹그룹(TJWG) 대표는 21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북한 인권 개선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이번 남북 정상회담에서도 이산가족 문제 외에 인권 부분이 거의 빠졌다고 밝혔습니다.
이 대표는 문재인 대통령이 평양에 간 이유는 북한 주민들의 인권을 개선하고 비핵화 진전과 억류된 자국민 송환을 요구하기 위해서라며 그러나 이 세가지가 공교롭게도 모두 빠졌다고 말했습니다.
이영환 전환기정의워킹그룹 대표: 북한 주민들이 이번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이 별로 없다는 게 문제입니다. 북한 주민들의 인권 개선이 배제된 상태에서 과연 무엇이 이로운 것인지...
이 대표는 다만 비핵화 문제에 있어 약간의 진전이 있었던 점과 이산가족 만남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또 한국에 대한 북한 주민들의 적개심 약화와 비무장지대(DMZ) 내 유해발굴 추진에 대해서도 의미가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이영환 전환기정의워킹그룹 대표: 이번 남북 정상회담으로 남한에 대한 북한 주민들의 적개심은 많이 약해질 것으로 보고요. 또 DMZ에서의 유해발굴 작업도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북한인권단체들은 특히 북한에 억류중인 한국 국민 6명의 송환이 이뤄지지 않는 것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김규호 북한억류자석방촉구시민단체협의회 대표는 북한이 한국계 미국인 3명은 석방했지만 한국 국민 6명은 아직 석방하지 않았다면서 김정은 위원장이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평화를 원한다면 한국 국민들도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탈북자 지성호씨도 문 대통령이 북한에서 송이버섯 2톤을 선물받은 것을 언급하며 문 대통령이 한국으로 귀환할 때 북한에 억류 중인 자국민 6명도 함께 데리고 왔어야 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지성호 탈북자: 송이버섯 2톤의 가치보다 우리 국민 6명이 대한민국으로 돌와오는 가치가 더 크다고 보고요..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 모임(한변)의 김태훈 대표는 이번 남북 정상회담에서 북한 인권 문제가 언급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며 북한의 변화는 인권 문제 해결에서 시작된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김 대표는 김 위원장이 북한 주민들을 위해 사용할 돈을 핵과 미사일 개발에 쓰기 때문에 북한 비핵화 역시 인권이 다뤄지지 않고는 이뤄질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김태훈 한변 대표: 인권이라는 게 뭡니까. 취약계층의 인권, 소수자의 인권, 약자의 인권을 돌보는 게 바른 자세가 아닙니까. 2천500만 명의 북한 동포들이야 말로 가장 취약한 계층입니다. 그런데 이 부분을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으니.. 그런데 지금 문재인 대통령이 접촉하고 있는 김정은 위원장은 거꾸로 보면 인권 탄압의 장본인입니다. 그렇다면 당사자를 만나서 인권 현안을 어떤 형식으로든 얘기하는 게 옳다고 생각합니다.
한국 내 탈북자들은 문 대통령이 북한의 집단체조 예술공연인 '빛나는 조국'을 관람한 것에 대해 비판했습니다.
북한인권단체 노체인의 정광일 대표는 북한 주민들이 그동안 폭염 아래에서 장기간 집단체조를 연습하면서 쓰러지는 일이 자주 발생했을 것이라며 특히 아동 참가자들의 건강 악화가 심각했을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정 대표는 인권 변호사 출신인 문 대통령이 이를 관람하고 박수를 치는 등 호응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이는 북한이 대내외 선전에 악용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정광일 노체인 대표: 7살짜리 아이들한테 집단체조 연습은 너무 혹독하죠. 이건 인권 유린입니다. 정말 집단체조를 연습할 때는 대소변도 참아야 합니다. 그 정도로 훈련을 시킵니다.
탈북자들은 또 이번 남북 정상회담에서 북한이 비핵화 의지를 밝힌 데 대해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상황에서 벗어나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며 북한이 합의를 제대로 이행하도록 압박과 제재를 늦추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