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인권단체들 “북인권결의, 북한인권 개선 바라는 국제사회 의지 반영”

0:00 / 0:00

앵커: 유엔총회 제3위원회가 북한인권결의안을 채택한 것과 관련해 한국 정부는 지지 입장을 냈습니다. 한국 내 북한인권단체들도 일제히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 보도합니다.

한국 외교부는 16일 "북한 주민들의 인권이 실질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기본 입장 아래 북한인권결의안 채택에 동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이 결의안의 61개 공동 제안국의 일원으로 결의안 문안 작성 과정에서부터 참여한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한국 외교부는 이번 결의안 채택은 현재 진행중인 외교적 노력을 환영하면서 북한 내 인권과 인도적 상황 개선을 위한 대화와 관여의 중요성에 주목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인권결의안이 14년 연속 유엔총회 제3위원회에서 채택된 데 대해 한국 내 북한인권단체들과 탈북자들은 일제히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 모임'의 김태훈 대표는 19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인권 없는 평화는 있을 수 없다"며 "이번 북한인권결의안 통과는 북한의 인권 개선을 바라는 국제사회의 의지가 담긴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이영환 전환기정의워킹그룹 대표는 "북한 인권 침해의 최고 책임자를 국제형사재판소에 회부하는 내용은 2014년부터 5년 연속 들어갔다"며 이는 북한 김정은 위원장을 직접 겨냥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대목"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영환 전환기정의워킹그룹 대표: 순리대로 진행되고 있다고 봅니다. 이번 결의안에도 나와 있듯이 북한 인권 문제는 반인도 범죄에 해당하는 겁니다. 그래서 책임있는 자의 처벌이 뒤따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한국 내 탈북자들은 북한 당국이 인권을 실질적으로 개선하는 노력을 보이지 않는데 대해 분노한다며 결의안 채택에 지지해준 국제사회에 고마움을 표했습니다.

북한민주화청년학생포럼 대표인 탈북자 박광일 씨는 "북한 주민들의 삶의 질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비핵화 합의의 의미도 퇴색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