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사상 초유의 미북 정상회담이 다음달 12일 싱가포르에서 개최될 것으로 발표된 가운데 저명한 국제 인권단체들은 북한의 인권 문제가 반드시 이번 회담 의제로 논의되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인권 단체인 국제앰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 미국 지부의 프란시스코 벤코스미 아시아담당 국장은 10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 인권문제가 이번 미북 정상회담 의제에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벤코스미 국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연두교서에서 북한 주민들의 고통과 인권문제를 언급한 사실은 북한 인권이 정상회담 논의의 일부가 될 것이라는 증거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에 억류된 미국인들과 납치 일본인들에 대해 언급해온 것은 이미 인권이 미북 정상회담 의제의 일부가 됐다는 증거입니다.
뉴욕에 본부를 둔 인권단체인 휴먼라이츠워치(Human Right Watch)의 브래드 아담스 아시아 국장 역시 미북 정상회담에서 열악한 북한 인권 상황이 반드시 논의돼야 하지만 그렇게 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매우 우려스럽다는 입장입니다.
아담스 국장은 이날 휴먼라이츠워치는 그동안 미북 정상회담에서 북한 인권이 회담 의제로 포함돼야 한다고 미국 정부에 요청해왔지만 한국 정부가 남북 정상회담에서 북한 인권문제를 다루지 않은 것처럼 그렇게 되지 않을 것 같아 걱정스럽다고 말했습니다.
아담스 국장: 한국과 미국 정부는 핵협상을 하면서 그들의 안보가 보장되면 북한에 경제적 지원에 나서려 할 것입니다. 그러면서 그들은 인권문제로 북한과 갈등을 야기하길 원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북한 인권 사안이 회담 의제에서 빠지지 않을까 매우 우려하고 있습니다.
미국 워싱턴 북한인권위원회(HRNK)의 그레그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인권 문제를 제기한 트럼프 대통령의 연두교서와 한국 국회 연설 등을 볼 때 미국 정부는 북한 인권 문제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있다면서 미북 정상회담에서 북한 인권문제가 논의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연두교서를 발표할 때 탈북자 지성호 씨를 초대했고 3일 뒤에 탈북자들을 만났습니다. 한국 국회에서도 북한 인권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마이크 펜스 부통령도 평창 올림픽 때 탈북자들을 만났습니다. 미국 대통령과 부통령은 북한 인권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습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정권 보장을 원하고 있지만 인류에 반하는 범죄, 자국민들의 인권을 침해하는 범죄를 저지르면서 정권을 유지할 순 없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앞서 국제앰네스티는 지난 7일 다른 11개의 인권 단체들과 함께 트럼프 대통령 앞으로 북한인권 문제를 미북 정상회담에서 의제로 다뤄달라고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습니다. 이들은 서한에서 북한의 핵 위협과 북한 주민들의 인권 문제는 떼어낼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