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HRW)는 올해에도 북한 정권의 참혹한 인권유린에 대한 책임자 처벌 방안 마련을 위해 적극적인 활동을 펼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휴먼라이츠워치의 필 로버트슨 아시아담당부국장은 9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2020년에도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COI)가 2014년 발간한 보고서 권고 내용을 이행하는데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로버트슨 부국장 : 조사위원회 보고서 권고 내용이 충실히 이행되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해 나갈 것입니다. 이 보고서야 말로 향후 북한 주민에 대한 당국의 인권 유린 책임을 추궁하기 위해 가장 중대한 자료이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와 유럽연합에서 북한 인권 문제를 제기하기 위한 노력을 배가할 것이라고 로버트슨 부국장은 설명했습니다. 특히 미국 정부가 북한 인권을 북한과의 협상에서 안건으로 채택하도록 압박할 것이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로버트슨 부국장 : 지난해 12월 10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북한의 인권문제를 안건으로 다루는 회의를 하자는 제안을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백악관 차원에서 성사시키지 않기로 결정한 데 대해 휴먼라이츠워치는 경악을 금치 못했습니다. (We were very, very astonished when Trump Administration, at the level of the White House, took the whole proposal to raise human rights issues at the UN Security Council at the 10th of December out.)
당시 미국 대표부만 찬성표를 던졌다면 안보리에서 북한 인권 논의를 위해 필요한 9개 이사국의 지지를 확보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로버트슨 부국장은 지적했습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8개 이사국이 북한인권 문제를 의제로 다루는 데 이미 찬성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의 관계를 고려해 안보리 북한인권 논의를 반대하고 나서면서 회의 개최가 무산됐다고 로버트슨 부국장은 주장했습니다.
그는 그러면서 미국은 특히 중국 정부의 탈북자 강제북송 중단을 ‘공개적으로’ 요구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휴먼라이츠워치는 또 한국에 설치된 서울 유엔인권사무소와 협력해 향후 책임자 처벌을 위한 자료 수집과 작성에 주력할 것이라고 로버트슨 부국장은 밝혔습니다.
특히 올해는 거짓 자백을 받아내기 위한 고문 등 주민들이 재판에 앞서 보내진 구금시설에서 겪는 참혹한 인권유린에 대한 보고서, 그리고 여성과 아동을 포함한 북한 주민들이 겪는 강제노역에 대한 보고서를 발간할 계획이라고 그는 소개했습니다.
한편, 미국의 대표적 인권단체 북한인권위원회(HRNK)의 그렉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올해도 정치범수용소 등 북한의 불법적인 구금시설 운용, 북한 주민의 인권을 전면적으로 부인하는 김 씨 정권의 정책, 여성 인신매매 등 취약계층에 대한 연구를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 : 지난해 말 이 세 분야에 대한 연구조사 작업에 이어 대북 정보 유입 등 주민의 정보권에 대한 연구를 추가한 바 있습니다. '북한의 정보 역공(North Korea's Counter-Offensive)'이라는 보고서를 발간한 것입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북한 주민들이 외부 정보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북한 당국이 취하고 있는 사법조치와 불법적 단속 실태 등을 계속 연구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