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HRW)는 한국 정부가 오는 27일 열리는 남북 정상회담에서 인권 문제를 거론하지 않겠다는 결정을 재고하길 촉구했습니다.
휴먼라이츠워치는 24일 발표한 성명에서 북한은 지난달 말 북한에 핵프로그램을 포기하고 인권 기록을 개선하라는 한국 강경화 외교장관의 발언을 공개적인 정치적 도발이라고 주장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단체는 성명에서 강 장관은 이와 관련해 북한의 끔찍한 인권 상황에 강경한 입장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덧붙였습니다.
성명은 또 지난 10일 휴먼라이츠워치 등 40여 개 민간 단체가 전 세계 200여개 민간 단체를 대신해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에서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유엔의 북한인권 개선 권고를 이행할 것을 촉구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성명은 그러면서 이 같은 요청에도 불구하고 청와대 측은 남북 정상회담에서 인권을 의제로 택하지 않을 방침을 밝혔다고 지적했습니다.
휴먼라이츠워치의 브래드 애덤스 아시아국장은 성명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도 밝혔듯이 북한의 인권 유린 문제와 국제평화와 안보에 대한 북한의 위협은 본질적으로 연관돼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그러면서 한반도 안보 문제의 장기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북한 당국의 근본적이고 광범위한 개혁이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휴먼라이츠워치는 따라서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의 참혹한 인권 문제를 남북 정상회담에서 제기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한편, 미국의 인권단체 연합체인 자유북한연합의 수잔 숄티 대표도 북한과의 어떤 종류의 만남에서든지 북한의 인권을 거론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숄티 대표는 23일 발표한 소식지에서 올해로 15번째 열리는 북한자유주간 행사 참여를 독려하며 이 같이 말했습니다.
숄티 대표는 그러면서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인권을 거론하지 못한다면 북한 주민에 대한 배반일 뿐 아니라 핵 프로그램을 정당화하는 북한의 거짓 선전에 힘을 실어주게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숄티 대표는 서울에서 오는 28일부터 다음달 5일까지 열리는 북한자유주간은 따라서 북한 정권의 학정을 종식시키기 위해 탈북자들이 평화적으로 벌이는 활동에 중점을 둘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그러면서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남북 정상회담과 미북 정상회담 등을 제안하며 매력 공세를 펼치고 있는 가운데서도 김 씨 정권은 북한 주민에게 매일 인권유린과 반 인도적 범죄를 자행하고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숄티 대표는 이어 한국에 정착한 3만 명이 넘는 탈북자와 북한 주민이야 말로 북한의 평화적 변화를 위한 귀중한 자산이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