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인권단체 “탈북민 선원 강제북송 사건 관련자 처벌해야”

2019년 11월 8일 해군이 동해상에서 북한 목선을 북측에 인계하기 위해 예인하고 있다. 해당 목선은 16명의 동료 승선원을 살해하고 도피 중 군 당국에 나포된 북한 주민 2명이 승선했던 목선으로, 탈북 주민 2명은 전날 북한으로 추방됐다.
2019년 11월 8일 해군이 동해상에서 북한 목선을 북측에 인계하기 위해 예인하고 있다. 해당 목선은 16명의 동료 승선원을 살해하고 도피 중 군 당국에 나포된 북한 주민 2명이 승선했던 목선으로, 탈북 주민 2명은 전날 북한으로 추방됐다. (/연합뉴스)

0:00 / 0:00

앵커: 북한인권단체인 남북함께국민연합은 탈북민 선원 강제북송 사건을 재조사하고 관련자를 즉각 처벌하라고 요구했습니다.

서울에서 한도형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내 북한인권단체인 남북함께국민연합은 16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 정부를 향해 탈북민 선원 강제북송 사건을 재조사하라고 요구했습니다.

탈북민 출신인 이동현 남북함께국민연합 사무총장은 “문재인 정부가 북한 정권에게 잘 보이기 위해 목숨 걸고 탈북한 동포들을 북한에 넘겼다”며 이같이 밝히고 “관련자를 즉각 처벌하라”고 강조했습니다.

남북함께국민연합 이동현 사무총장 :문재인 정부는 북한 김정은의 비위를 거스르지 않기 위해 탈북민을 사지로 몰아넣고 말았습니다. 강제북송 당한 청년 2명은 북한 지역에서 끌려다니며 탈북해서 남한에 가봤자 다시 북한으로 되돌려 보내진다며 김정은 정권의 선전도구로 악용되고 있다고 다수의 탈북민들이 증언 하고 있습니다.

남북함께국민연합은 이와 함께 탈북민 중 인도적 송환시설을 이용한 인원, 명단과 처리 현황을 즉각 공개하라고 요구했습니다.

통일부는 지난 2020년 12월 3일 ‘2021년 통일부 예산ㆍ기금 주요내용’을 발표하며 ‘납북피해자 문제 해결 및 인도적 송환업무 지원 예산’이 감액된 이유에 대해 인도적 송환 관련 임시 수용시설이 거의 완공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한 바 있습니다.

임시 수용시설은 군부대 안에 위치해 있으며 2층 규모의 철골구조 시설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와 관련해 이완영 남북함께국민연합 대표는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통화에서 “탈북민 처리에 대한 기존 절차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문재인 정부가 불필요한 시설을 만들었다”며 “군에서 탈북민 북송에 개입하기 위한 의도로 만든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갖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남북함께국민연합 이완영 대표 :탈북을 하면 국정원에서 조사하고 하나재단으로 보내는 기존의 절차가 있거든요. 그 절차대로 하면 되는데 왜 인도적 송환시설이라는 것이 필요한 것인지 군에서 개입을 해서 북송하려는 의도로 만든 시설이 아닌지 그런 생각을 하고 있고요.

이 대표는 지난 9일 통일부를 상대로 인도적 송환시설 이용 현황 등에 대해 정보공개 요청을 한 상태라고 밝혔습니다.

이밖에 남북함께국민연합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난 문재인 정부 5년 간의 탈북민 현황과 남북하나재단의 예산이 삭감된 이유를 밝히고 탈북민을 보호하는 모든 정책을 강화하라고 요구했습니다.

남북함께국민연합은 이와 함께 문재인 정부 시절 군이 해상에서 북한 선박을 밀어내기했다는 의혹, 김정은 암살에 실패한 북한 군인들을 한국이 체포해 북에 넘겼다는 의혹 등 일각에서 제기하는 의혹에 관련해서도 정부가 해명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이날 기자회견을 진행한 남북함께국민연합은 지난 2019년 11월 탈북민 선원 두 명을 문재인 정부가 강제 북송시키자 이에 항의하기 위해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단식한 인권운동가들이 주축이 되어 만들어진 인권단체입니다.

기자 한도형,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