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유엔인권사무소 부소장 “유엔기구 북 복귀 필수적”

0:00 / 0:00

앵커 :이메쉬 포카렐 서울 유엔인권사무소 부소장은 유엔이 북한과 새로운 전략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선 유엔기구들이 북한에 복귀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메쉬 포카렐 서울 유엔인권사무소 부소장은 당초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이행을 목표로 작성된 북한의 유엔전략계획 (UN Strategic Framework)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연장됐다고 밝혔습니다.

포카렐 부소장은 한국의 북한인권단체인 성공적인 통일을 만들어가는 사람들(PSCORE), 즉 성통만사가 지난 5일 공개한 강연 영상에서 이같이 말하며 연장된 전략계획이 올해 만료되는 만큼 새로운 전략계획 수립을 위한 과정이 곧 시작되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새로운 전략계획은 유엔과 북한 당국 간 협의를 통해 수립되어야 한다고 말하며 이를 위해선 신형 코로나로 인한 국경 봉쇄로 북한에서 철수했던 유엔기구들이 북한에 복귀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이메쉬 포카렐 서울 유엔인권사무소 부소장 : 지난 2020년 시작된 코로나19 국경통제로 인해 유엔기구들은 북한 밖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유엔기구들이 언제 북한에 복귀할 수 있을지 여전히 불투명합니다…새로운 전략계획 수립을 시작하기 위해 유엔기구들이 북한에 복귀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The UN agencies have been out of the country due to covid-19 border restrictions since 2020. It is still unclear when the UN agencies will be able to return to the DPRK…It is essential that the UN agencies are able to return to the country to start the development of the new strategic framework.)

북한 내 상황을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 정보 수집, 연구, 조사를 실시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선 현장 인력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입니다.

포카렐 부소장은 또 서울 유엔인권사무소는 북한의 새로운 전략계획이 인권 원칙에 근거하길 바란다며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 등 유엔의 인권 매커니즘을 통해 제시된 대북 권고는 이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유엔 인권이사회의 보편적 정례인권검토(UPR)에서 북한이 수용했던 권고들을 바탕으로 북한의 인권 관련 목표 이행을 위한 구체적 계획을 세울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며 북한이 국제 인권 매커니즘에 대한 관여를 늘리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메쉬 포카렐 서울 유엔인권사무소 부소장 : 우리는 북한 당국이 조약 이행 보고, 유엔 전문가 방북 허용 등을 통해 국제 인권 매커니즘에 대한 관여를 늘리는 데 동의하길 기대합니다.

앞서 유엔과 북한 당국은 지난 2016년 9월 ‘유엔전략계획 2017-2021’을 승인하고 식량 및 영양안보, 사회개발 서비스, 복원력과 지속가능성, 데이터와 개발 관리 등을 전략 우선순위로 선정한 바 있습니다.

다만 지난 2020년 1월 북한 당국이 신형 코로나 유입을 막겠다며 실시한 국경봉쇄가 장기화되자 북한에서 철수했던 세계보건기구(WHO), 세계식량계획(WFP), 유엔아동기금(UNICEF) 등 유엔기구들의 복귀가 어려워졌고 유엔은 새로운 계획을 수립하는 대신 기존 계획을 연장해왔습니다.

성통만사는 오는 10일부터 12일까지 사흘간 ‘2023 모의 유엔전략계획 컨퍼런스’를 화상으로 개최합니다. 행사 참가자로 선정된 16개국 출신 청년 36명은 유엔과 북한이 올해 말까지 완수해야 할 새로운 유엔전략계획을 모의로 작성할 계획입니다.

지난 2006년 설립된 성통만사는 한국의 북한인권단체로 지난 2012년 유엔 경제사회이사회(UN ECOSOC)로부터 특별 협의적 지위(Special Consultative Status)를 부여받아 유엔 인권이사회(UNHCR)에 참여할 수 있게 됐습니다.

기자 이정은,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