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 국가정보원 산하의 국가안보전략연구원(INSS)이 조만간 유엔 서울사무소 측과 간담회를 열고 북한 인권개선 및 관련 연구를 위한 양측 간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국책연구기관인 국가안보전략연구원(전략연)은 3일 제임스 히난 서울 유엔인권사무소장을 초청해 오는 6일 간담회를 열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자리에서는 북한 인권 및 북핵 문제와 관련한 한국, 유엔 간 공조 강화 방안 등이 논의될 예정입니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3월 전략연 내 북한인권 전담 연구 조직으로 신설된 북한인권연구센터가 주관하는 행사로 전략연 측은 이번에 열릴 간담회에 대해 “북한인권 연구를 본격화하는 첫 일정”이라고 밝혔습니다.
행사에는 한석희 국가안보전략연구원장과 김광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북한인권연구센터장, 제임스 히난 서울 유엔인권사무소장, 엘레오너 페르난데스, 하임숙 서울 유엔인권사무소 인권관 등이 참석합니다. 한석희 원장의 말입니다.
한석희 국가안보전략연구원장 :저희는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해서 (관련 연구를) 더 확대해 나가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런 차원에서 서울 유엔인권사무소 측과 만나서 우리가 어떻게 협력할 수 있을지, 앞으로 어떤 분야의 연구를 하는 게 좋을지 등을 논의하려고 합니다.
김광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북한인권연구센터장도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통화에서 “북핵 및 북한 인권 문제 해결과 관련한 근원적인 접근 방법, 김정은의 국제형사재판소 제소 가능성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며 “북한 인권 개선의 중요성에 대해 경종을 울리고 여론을 환기하는 차원의 의미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전략연은 북한 인권과 북한의 식량 상황을 연계한 연구도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이달 내로 ‘국제·북한 식량안보연구 TF팀’, 즉 전담팀도 구성해 관련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할 계획입니다.
김광진 센터장은 이 전담팀과의 협업을 통해 북한 식량난의 책임이 북한 당국에 있다는 사실을 규명하는 작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북한 당국이 식량을 독점한 상황에서 농업 생산 등과 관련해 지나치게 많은 통제와 개입을 하는 것이 식량난의 근본적인 원인이라는 지적입니다.
김광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북한인권연구센터장 :식량 안보는 북한 인권 악화에 직결되는 문제입니다. 먹을거리에 대한 권리가 박탈당하고 또 피해를 입는 것이니까요. 요즘에는 아사자가 생기면서 많이 힘들다고 하지 않습니까. 그런 부분들을 지적해서 북한 당국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이 같은 문제는 당국의 책임이라는 (것을 지적하려고 합니다.)
전략연은 북한 인권 문제 등에 대한 연구를 본격화하기 위해 4개 분야에 대한 전문연구직 인력 채용도 진행 중입니다. 채용분야는 군사 안보와 전략을 다루는 안보, 국제관계, 북한법 및 북한인권, 사이버 및 보건 환경을 다루는 신안보 등입니다.
한석희 원장은 “북한 인권 문제에 전문성을 가진 연구원을 투입해 관련 사안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활성화 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기자 목용재,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