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휴먼라이츠워치 등 40개 국제인권단체가 한국 문재인 대통령에게 공개서한을 보내 북한 인권 문제를 남북 정상회담의 주요 의제로 다뤄줄 것을 촉구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을 비롯해 전 세계에서 활동하고 있는 북한 인권단체들이 10일 한국 문재인 대통령 앞으로 공개서한을 보냈습니다.
공개서한 작성을 주도한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는 남북 정상회담뿐만 아니라 향후 북한과 진행되는 모든 회담에서 북한 인권 문제를 시급한 의제로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특히 북한 내 구금시설의 열악한 환경과 인권유린 혐의가 다뤄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를 위해 북한 당국이 운영하는 모든 구금시설에 국제감시단이 방문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김영자 북한인권시민연합 사무국장 : 북한에서 벌어지고 있는 인권 침해 상황에서 북한 주민들이 벗어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는 것이 바로 남북대화의 의미라고 생각합니다.
서한에 공동서명을 한 인권단체들은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북미와 남미 등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영환 전환기정의워킹그룹 대표 : 태국, 아르헨티나, 페루, 미국, 캐나다, 영국, 한국, 벨기에, 프랑스, 일본, 남아프카공화국 등에 있는 40여 개 인권단체가 참여했는데요. 이들 단체에는 여러 회원 단체들이 있어서 전 세계 200여 개 단체가 함께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들 단체는 서한에서 북한 인권 문제가 핵문제 만큼이나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안명철 NK워치 대표는 북한 인권 문제가 핵문제에 밀려 후순위로 다뤄져선 안된다며 남북인권대화를 정기적으로 추진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안명철 NK워치 대표: 지금 비핵화에만 신경을 쓰고 있는데요. 핵을 개발하는데도 주민들이 강제로 동원되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도 문 대통령께서 지적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북한 인권단체들은 또 서한에서 대북 인도적 지원의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분배의 투명성도 강조했습니다.
지원 물자의 분배 확인을 위해 국제기구의 감시 요원들이 물자가 배달된 북한 지역을 방문할 수 있도록 한국 정부가 북한 당국에 강력하게 요청해야 한다는 겁니다.
이영환 전환기정의워킹그룹 대표 : 지원된 물자가 어린 아동, 노인, 장애인, 임산부에게 제대로 전달되는지를 확인하고 북한 당국이 물자를 다시 빼앗지 못하게 해야 합니다.
북한 인권단체들은 남북한 정보교환과 민간 교류 확대도 요구했습니다. 특히 북한 주민들이 외부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북한과 합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남북 이산가족 상봉의 정례화와 납북자 송환도 요청했습니다.
황인철 KAL기 납치피해자가족회 대표: 제 아버지를 포함해 납치를 당한 수많은 납북자는 대한민국 국민입니다. 남북 정상회담에서 대한민국의 대통령으로서 국민을 위하여 생사확인과 송환을 반드시 북한 당국에 촉구해야 합니다.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에 따르면 한국전쟁 중 납북된 한국 국민은 8만여 명에 이릅니다. 한국 정부는 1953년 휴전협정이 체결된 이후 500명이 넘는 한국 국민이 납북되었다고 기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