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주민, 지옥에서 태어나 노예로 살아”

0:00 / 0:00

앵커: 전 세계 여러 인권단체가 모여 열린 행사에 영국에 정착한 탈북자가 나와, 북한과 중국에서 탈북자들이 겪고 있는 인권유린 실태를 폭로했습니다. 보도에 홍알벗 기자입니다.

인권과 민주주의를 위한 제네바 회의(Geneva Summit for Human Rights and Democracy)가 8일 열렸습니다.

올해는 코로나19, 즉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때문에 인터넷 토론회 형식으로 개최됐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전 세계 16개 나라에서 인권탄압을 겪은 피해자들이 나와 자신들의 경험담을 털어 놨습니다.

인권운동가로 영국에 정착한 탈북자 박지현 씨는 자신이 북한과 중국에서 겪었던 끔찍한 인권유린 상황을 소개했습니다.

ParkJiHyun.jpg
인권운동가로 영국에 정착한 탈북자 박지현 씨가 인권과 민주주의를 위한 제네바 회의에서 자신이 북한과 중국에서 겪었던 끔찍한 인권유린 상황을 소개하고 있다. /화상회의 캡쳐

박지현: (탈북한 뒤) 인신매매를 당해 중국인 남자에게 5천 위안에 팔려 갔습니다. 그때 남동생은 붙잡혀 강제북송됐는데 아직도 살았는지 죽었는지 모릅니다.

그는 또 중국에 있는 탈북여성들은 여권은 커녕, 신분증과 자녀의 출생증명서도 만들 수 없다고 국제사회의 관심을 호소했습니다.

박 씨는, 북한 주민들은 지옥에서 태어났고 노예의 삶을 살고 있다며 북한 당국을 강도높게 비난했습니다.

박지현: 남자, 여자, 어린이. 그들은 고문 당하고, 갇히고, 굶주리고, 총에 맞고, 죽임을 당하고 있습니다. 북한에서는 좋은 삶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그러면서, 북한 주민들은 고문과 처형에 대한 두려움 없이 살 권리가 있다며 북한의 열악한 인권상황을 널리 알려달라고 호소했습니다.

올해로 13번째를 맞은 '인권과 민주주의를 위한 제네바 회의'는 매년 유엔 인권이사회의 주요 연례행사에 맞춰 열리고 있습니다.

전 세계 25개 인권 NGO, 즉 비정부단체가 모여 조직된 연합체에 의해 치러지는 이 행사에서는, 북한을 비롯해 중국과 쿠바 등에서 탈출한 인권 영웅과 활동가, 그리고 정치범들이 인권과 민주주의 및 자유를 위한 개인적인 투쟁에 대해 증언하고 행동 전략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한편, 북한에 억류됐다 풀려난 뒤 1주일도 안돼 사망한 미국 대학생 오토 웜비어의 부모가 2018년 참석해 아들의 죽음에 대해 북한 당국의 책임을 추궁해야 한다고 호소한 이후 이 행사에서 북한 인권문제가 다뤄진 건 올해 3년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