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링컨 “북한인권특사 임명할 것…시한은 없어”

0:00 / 0:00

앵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공석으로 남아있는 국무부 북한인권특사 임명에 대한 단호한 의지를 강조했습니다. 다만 정해진 시간표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지에린 기자가 보도합니다.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은 7일 여전히 공석으로 남아있는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를 임명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블링컨 장관은 이날 미국 연방 하원 외교위원회가 '국무부 외교정책 전략과 2022회계연도 예산 요청'을 주제로 개최한 화상 청문회에 출석해, 조 바이든 행정부의 북한인권특사 임명 시간표를 묻는 한국계 영 김 의원(공화, 캘리포니아)의 질문에 이같이 강조했습니다.

블링컨 장관: 우리는 북한인권특사 임명에 나설 것입니다. (임명) 시간표를 둘 수는 없지만, 임명하는 것엔 단호합니다. (We will be coming forward that. I can't put a timeline on it. We're determined to do that.)

그는 이어 "(북한인권특사) 검증 과정은 예전보다 더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며 힘들어졌다"며 "우리는 모든 것이 적절히 이뤄지도록 확실히 하길 원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임명 시점에 대해 더 잘 알게 되면 이를 공유하겠다며 "우리는 그 일을 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며 거듭 강조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21일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 후 열린 공동 기자회견에서 성 김 대북특별대표 임명을 깜짝 발표했지만, 북한인권특사 자리는 지난 2017년부터 지금까지 여전히 공석으로 남아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 연방 의회에서도 북한인권특사 임명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영 김 의원은 지난달 말 미국 애틀란틱카운슬과 한국 동아시아재단이 공동 주최한 화상 회의에서, 바이든 행정부가 북한인권특사를 임명할 것을 촉구하면서 북한 인권 문제에서도 진전을 봐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미국 연방 상원 외교위원회의 아태 소위원장을 맡고 있는 에드 마키 민주당 상원의원(메사추세츠) 역시 지난달 말 한미 정상회담 결과에 대한 자유아시아방송(RFA) 논평 요청에 바이든 행정부의 북한인권특사 임명을 촉구한 바 있습니다.

또한, 블링컨 장관은 7일 2022회계연도 국무부 예산과 관련한 하원 세출위원회 소위 청문회에 출석해, 재미 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위해 노력할 것임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이날 재미 이산가족 상봉과 관련한 민주당의 그레이스 멩 하원의원(뉴욕)의 질문을 받고 “이분들(재미 이산가족)이 (가족과) 헤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사랑하는 이들의 운명조차 모르는 것은 가슴이 찢어지는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This is just heart-wrenching knowing that people have been not only separated but don't even know the fate of their loved ones.)

그는 이어 “내가 약속할 수 있는 것은 가족과 헤어진 한국계 미국인들의 이익이 우리 노력에 반영되도록 한국의 파트너와 함께 전적으로 노력할 것이라는 점”이라고 강조했습니다. (So what I can pledge to you is that we will absolutely work on this including with our South Korean partners to make sure that the interests of Korean Americans who have been separated from families are reflected in the efforts that we make and that are made.)

그러면서 그는 이는 매우 도전적인 일이고 북한으로부터 어떤 반응이 있을지 알지 못한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