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내 북한 인권 전문가들은 미 국무부가 5년 이상 공석이던 북한인권특사에 대한 인선 절차에 들어갔다는 소식에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을 방문 중인 성 김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는 21일 “북한인권 특사로 최적의 후보가 될 수 있는 인물을 가려내기 위한 절차를 진행 중”이라며 “그런 절차에 진전을 보고 있고 조만간 발표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그렉 스칼라튜 미 북한인권위원회(HRNK) 사무총장은 21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통화에서 이는 매우 긍정적인 소식이라며 반겼습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로버트 킹 전 북한 인권특사가 물러난 2017년 1월 이후 지난 5년 8개월이라는 긴 시간 동안 이 특사직이 공석이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미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선을 밝혔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특히 최근 윤석열 한국 정부가 이신화 북한인권국제협력대사를 새로 임명하고, 최근 엘리자베스 살몬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 선임된 데 이어 미국 정부 역시 북한 인권특사의 공석을 채우려는 움직임으로 해석했습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 :저는 이것이 아마도 미국 정부가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신호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모두 북한 인권특사 임명을 간절히 기다리고 있습니다.
로베르타 코언 전 미 국무부 인권 담당 부차관보도 2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국제사회에서 북한인권 문제를 제기하는 데 있어 미국 정부를 대표하는 북한 인권특사를 임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코언 전 부차관보는 특히 유엔 인권이사회가 채택하는 북한인권결의안을 반대하는 중국, 러시아에 맞서 미국의 입장을 강력하게 피력할 수 있는 북한인권특사는 전략적 의미도 갖는다고 설명했습니다.
코언 전 부차관보 : 미국이 이사회 안팎에서, 또 공개 성명을 통해 강력한 목소리를 내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특사가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미국이 유엔 인권이사회에 담당 대사를 배치하지 않는 것은 매우 부끄러운 일입니다.
그는 또 조 바이든 미 행정부가 대북정책과 관련해 핵 협상과 같은 안보 관련 사안 뿐 아니라 인권을 함께 우선시하는 포괄적인 정책(comprehensive policy)을 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한편 미 백악관과 국무부는 북한 인권특사 인선에 대한 21일 자유아시아방송(RFA) 논평 요청에 이날 오후까지 답하지 않았습니다.
기자 김소영,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