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 “북 여성 어려움 국제사회 관심 유도”

0:00 / 0:00

앵커 : 엘리자베스 살몬 신임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은 북한 여성의 역경에 국제사회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엘리자베스 살몬(Elizabeth Salmon) 신임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은 1일 피해자 중심의 접근 방식을 고수하겠다고 말하며 지금까지 목소리를 내지 못했던 이들에게 귀를 기울이고 이들의 목소리를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살몬 특별보고관은 이날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 서울사무소를 통해 발표한 성명에서 제4대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으로서의 부임을 알리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특히 첫 여성 북한인권특별보고관으로서 북한 여성과 여자 아이들의 필요와 역경에 국제사회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특별한 노력을 기울일 결단이 되어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살몬 특별보고관은 또 북한 당국의 엄격한 코로나 방역 조치로 인해 북한인권 상황이 지난 2년 6개월 간 더욱 악화됐다는 점은 이미 알려진 바 있다며 북한 주민은 이제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한층 더 어려운 상황을 마주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인권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구호물자, 인도지원 물자를 북한에 들여보내고 대화와 협력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이는 북한 당국이 건설적인 대화에 열린 자세로 임하는지, 그리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이 평화·안보·인권 관련 정책에 어떻게 접근하는지에 달렸다고 말했습니다.

살몬 특별보고관은 또 역대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의 활동에서 가장 큰 걸림돌은 완전히 차단된 대화 통로였다며 북한 당국과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북한인권 상황의 여러 측면에 대한 정보 습득 통로를 보존하고 확대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더해 북한인권 보호를 위해 국제사회가 더욱 단호히 연대할 필요가 있다며 북한인권 관련 시민사회단체, 피해자 단체, 유관국 정부 등 모두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한국을 방문하려 한다고 말하며 수주 내로 포괄적인 업무 게획을 마련하고 중단기 목표와 활동계획을 담은 첫번째 보고서를 오는 10월 유엔 총회에 제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앞서 한국 정부는 지난 8일 살몬 특별보고관의 임명을 환영하며 살몬 특별보고관의 활동에 적극 협력하는 등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공조 하에 북한인권 상황의 개선을 위한 노력을 지속 경주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기자 이정은,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