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등의 요청에 따라 올해에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북한 인권에 대한 논의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안보리 이사국 중 하나인 미국과 알바니아는 지난달 28일 북한 인권 문제를 올해 안보리 의제로 올리도록 요청하는 문건을 안보리 상임이사국에 제출했습니다.
북한 인권 논의 요청서는 미국, 알바니아 외 59개 국가와 유럽연합(EU)의 지지 서명을 받았습니다.
전년 대비 약 2배 이상 많은 지지를 받은 겁니다.
현재 유엔 규정에 따르면 어느 한 의제가 3년 연속 안보리에서 공개적으로 논의되지 않으면 안보리 이사국의 이의가 없는 한 다음해 의제 목록에서 자동으로 소멸됩니다.
이와 관련해 주유엔 미국대표부는 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지난해 12월 유엔 안보리에서 열린 북한 인권 문제 관련 논의를 언급하며, 이번 요청서는 안보리가 계속해서 관련 사안에 관심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유엔 안보리는 지난해 12월 9일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해 비공개 협의를 가진 바 있습니다.
대표부 측은 그러나 향후 북한 인권 관련 회의 일정에 대해서는 발표할 게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안보리는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의 첫 보고서가 나온 2014년 공개회의를 개최한 이후 2017년까지 매년 관련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그러다 2018년 첫 미북 정상회담이 열린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 당시 미온적 대응과 의제 상정에 대한 안보리 이사국의 정족수 부족으로 논의가 무산됐고, 2019년엔 미국이 북한 인권 관련 회의를 요청하지 않았습니다.
2020년 미 정부 주도로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논의가 재개됐지만 지난해까지 중국, 러시아의 반대로 모두 비공개 방식으로만 진행됐습니다.
올해도 중국, 러시아의 반대로 비공개 방식으로 논의될 가능성이 큽니다.
한편 이와 별개로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는 지난달 27일부터 4월 4일까지 52차 이사회를 개최하며, 북한 인권문제는 3월 20일 논의될 예정입니다.
이번 이사회에서는 북한의 인권 유린에 대한 책임 규명에 대해 집중 논의될 것으로 보입니다.
박진 한국 외교부 장관은 이사회 둘째 날인 지난달 28일 제52차 유엔인권이사회 고위급회기 화상연설을 통해 북한 정권이 코로나로 인한 북한 내 민생 악화 상황에도 불구하고 핵·미사일 프로그램에 집중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국제사회의 관심을 촉구했습니다.
기자 김소영,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