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유엔은 올해 대북 인도주의 지원을 위해 1억1천100만 달러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은 11일 발표한 ‘2018 대북 인도주의 필요와 우선순위 보고서’(DPRK Needs and Priorities 2018)에서 올해 대북 지원 예산으로 총 1억1천100만 달러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예산을 통해 세계식량계획 등 북한 내 5개 유엔 기구와 5개 유럽 비정부기구가 1천3백만 명의 북한 주민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이 같은 수치는 지난해 예산 1억1천400만 달러보다 300만 달러 줄어든 것이며, 2016년 1억2천100만 달러 보다 700만 달러 감소한 것으로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예산이 1억1천400만 달러였지만 대북 제재의 영향으로 모금이30% 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아울러1천800만 명의 북한 주민을 지원할 예정이었지만 650만 명만이 지원을 받았습니다.
올해 전체 예산 1억1천100만달러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영양사업으로 3천850만 달러가 할당됐습니다. 이 자금은 어린이와 여성들에 대한 보조식품과 미량영양소 지원, 그리고 중증 급성영양실조의 예방과 치료 활동에 사용됩니다.
보건 분야에는 3천700만 달러가 투입될 예정으로, 북한 보건기관들에 필수 의약품과 백신, 장비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이밖에 유엔은 주민들에게 식량과 비료, 종자, 농기구, 가축 등을 지원하는 식량안보 사업에 2천600만 달러, 식수 위생사업에 950만 달러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타판 미슈라 평양주재 유엔 상주조정관은 보고서에서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 등으로 인한 국제사회의 제재가 대북 인도적 지원에 미치는 영향을 지적했습니다.
대북 제재가 인도주의적 활동을 예외 조항으로 명시하고 있지만, 2013년부터 금융 제재로 인해 국제 지원단체들이 은행을 통한 대북 송금을 하기가 어려워졌다는 설명입니다.
또 추가적인 허가 절차로 인한 물품구매 지연이나 구매 물품이 제재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보고서는 이런 상황이 기부자들의 태도 변화와 자금 배분 결정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에 2012년부터 기부금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북한 어린이와 임산부, 수유모 등 취약계층에 절실한 지원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