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난 소장, 국군포로가족회 면담…“한국 정부와 중재 나설 것”

0:00 / 0:00

앵커 :제임스 히난(James Heenan) 신임 서울 유엔인권사무소장이 국군포로 가족 단체를 만나 국군포로 문제 해결 방안과 유엔의 역할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지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북한인권단체인 6.25국군포로가족회 손명화 대표는 23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제임스 히난 서울 유엔인권사무소장과 이날 서울 중구에 위치한 단체 사무실에서 두 시간 동안 면담을 진행했다고 밝혔습니다.

손 대표는 지난 10월 히난 소장 부임 직후 열린 상견례에서 국군포로에 관한 책 ‘침묵의 43호’를 히난 소장에게 전달했다며, 히난 소장이 책을 읽고 단체에 면담을 요청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손 대표는 이날 히난 소장에게 국군포로 문제에 대한 한국 정부의 미온적 태도를 강조했다고 말했습니다.

또 한국 정부가 내년 정전협정 체결 70주년을 맞이해 북한에 있는 국군포로들을 위한 퇴역식을 개최하고 훈장을 수여하길 바란다며 이러한 문제에 유엔이 나서서 역할을 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손 대표에 따르면 히난 소장은 국군포로 문제에 대한 한국 정부의 무관심에 대해 알지 못했다며 서울 유엔인권사무소가 한국 정부와 중재 역할에 나서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손명화 대표 : (히난 소장이) 유엔 사무소가 할 수 있는 문제를 최선을 다해서 (해결)하고, 정부하고 타협할 수 있는 문제는 자기가 직접 나서겠다 해서…

POW1.jpg
6.25국군포로가족회가 23일 제임스 히난 서울 유엔인권사무소장과 면담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6.25국군포로가족회 손명화 대표

손 대표는 또 국군포로 자녀로 북한 탄광에서 강제노역을 하며 차별을 당한 경험과 한국에서의 어려운 정착 과정에 대한 이야기도 전했다고 밝혔습니다.

6·25전쟁 이후 유엔군은 한국군 실종자를 8만2천명으로 집계했지만 공산군이 인도한 국군포로는 총 8천343명으로, 정전협정 체결 후 탈북한 국군포로도 80명에 불과합니다.

서울 유엔인권사무소도 23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트위터를 통해 이번 면담으로 수십 년간 북한에 억류된 국군포로 가족이 겪은 고통과 이들의 정의 실현을 위한 노력에 대해 들을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지난달 초 부임한 히난 소장은 내년 초까지 북한 인권단체들을 순차적으로 개별 방문해 의견을 들을 예정입니다.

앞서 한국 통일부는 윤석열 정부 취임 이후인 지난 7월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국군포로 문제에 대해 “해결을 위한 실효적인 방안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밝혔으며, 실제 지난달 한국 국가보훈처는 귀환한 국군포로 참전용사에 대한 예우 개선을 위해 국립묘지법 개정, 지원금 지급, 미귀환 국군포로 추모시설 건립 등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 뉴욕에 본부를 둔 비영리단체(NGO) ‘보호책임 글로벌센터’(GCR2P)는 21일 성명을 내고 13개 국제 시민사회단체가 유엔총회 제3위원회에서 북한인권결의안이 채택된 것을 환영한다고 밝혔습니다.

국제앰네스티와 휴먼라이츠워치(HRW) 등 13개 단체들은 성명을 통해 모든 유엔 회원국들이 결의안에서 약속한 내용을 최대한 이행하라고 촉구했습니다.

그러면서 “특히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의 인권 상황에 대한 논의를 재개하고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가 안보리에서 브리핑(보고)하도록 촉구한 점을 환영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어 “안보리는 2014~2017년까지 매년 12월 북한의 인권 상황에 대한 공식 회의를 개최했지만, 2020년과 2021년 12월에는 북한 인권 문제가 ‘기타 안건’으로 비공개 협의에서 논의됐다”고 덧붙였습니다.

기자 지정은, 에디터 양성원, 웹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