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운백 “북 종교자유침해, 2차 장관급 회의서 증언될 것”

0:00 / 0:00

앵커: 미국 국무부의 샘 브라운백 국제종교자유 담당 대사는 다음주에 열리는 제2차 종교자유증진을 위한 장관급 회의에서 지난해 1차 회의때처럼 북한에서 자행되는 종교의 자유 침해 실상이 증언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브라운백 대사는 12일 국무부가 주최한 전화기자회견에서 오는 7월 16일부터 18일까지 미국의 수도 워싱턴DC에서 개최되는 제2차 종교자유 증진을 위한 장관급 회의(2nd Ministerial to Advance Religious Freedom)는 자신의 신앙 때문에 박해를 받는 사람들에게 집중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이어 세계 각국에서 종교의 자유를 침해받은 20여명이 이번 회의에서 자신이 당한 박해 경험을 증언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브라운백 대사는 이 20여명 가운데 지난해 1차 회의 때처럼 탈북민이 있느냐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의에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브라운백: 네. 그렇습니다. 북한을 탈출해 사람들에게 (북한 당국의 종교의 자유 침해 실상을) 증언할 탈북민이 있습니다. (Yes. we do have a North Korean that was able to get out of North Korea that will be speaking to the overall group)

지난 1차 회의 때는 탈북민 지현아 씨가 참석해 북한에서 성경을 가지고 있다는 이유로 강제수용소로 끌려간 자신의 박해 경험을 증언한 바 있습니다.

이와관련해 미 국무부가 지난 6월에 발표한 ‘2018년 연례 국제종교자유 보고서’(2018 Annual Report on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에 따르면 북한에서 종교서적을 소지하고 종교를 타인에게 소개하며 기도 등 종교활동을 한 이유로 처벌받은 사람이 2007년부터 지난해 3월까지 1,341명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고서는 또 북한 정치범 수용소에는 8만에서12만명 가량이 갇혀있는데 이들 중 상당수는 종교적 이유 때문에 수감돼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런 이유로 국무부는 지난해 11월 북한을 중국, 이란, 미얀마 등과 함께 ‘종교자유 특별우려국’으로 지정했는데 북한은 2001년 후 17년째 ‘종교자유 특별우려국’으로 지정됐습니다.

한편, 이번 제2차 종교자유 증진을 위한 장관급 회의는 115개국 정부 관리와 100여개 민간단체 대표 등이 참석해 종교의 자유 증진을 위한 세계 최대 국제회의가 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