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 김 미국 하원의원은 중국 당국이 지난 14일 탈북민 50여명을 강제로 북송했다는 보도에 대해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고 밝혔습니다.
영 김 의원은 23일 중국 당국이 14일 오전 탈북민 50여명을 단둥 세관을 통해 전격적으로 북송했다는 보도에 대한 자유아시아방송(RFA)의 논평 요청에 중국이 무고한 북한인을 송환해 북한 정권에 의해 처형되게 허용하는 행위는 용납할 수 없으며, 1951년 난민 지위에 대한 유엔협약과 1967년 난민지위에 대한 의정서를 위반하는 행위라고 말했습니다. (Allowing the PRC to send back innocent Koreans to be executed by the North Korean regime is unacceptable and actively violates the 1951 UN Convention and 1967 Protocol.)
특히 김 의원은 이러한 이유로 탈북자 강제 북송 문제를 문재인 한국 대통령과 이수혁 미국 워싱턴DC 주재 한국 대사에게 직접 제기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That is why I brought this issue up directly to South Korean President Moon and Ambassador Lee.)
그러면서 김 의원은 조 바이든과 문재인 행정부 모두 이 문제에 대해 외교를 펼칠 기회를 놓쳤으며, 더 늦기 전에 중국 정부가 남아있는 억류자들을 한국으로 석방하도록 협력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Both the Biden and Moon Administrations missed the moment to exercise diplomacy on this matter and must work together to get the Chinese government to release remaining detainees to South Korea before it's too late)
한편, 잴리나 포터 미국 국무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 기자 설명회에서 중국정부에 의한 탈북민들의 강제 북송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미국의 외교정책은 인권을 중심으로 한다는 점을 재확인했습니다.
포터 부대변인은 대북 접근법에서 인권을 우선으로 하는 기조를 지속할 것이라며, 북한 주민들의 고통을 줄이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그러면서 미국 정부가 북한의 인권유린 방지를 위한 국제사회 노력을 계속해서 지지할 것이라며, 북한 정권이 이를 받아들이길 희망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기사 작성 자유아시아방송 김소영·이경하 기자, 에디터 이상민,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