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시센터 탈북자 장학금 신청마감…16명 신청”

0:00 / 0:00

앵커 : 조지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의 퇴임 후 활동을 위한 재단인 부시정책연구소는 미국에 사는 탈북자를 지원하는 올해의 장학금 신청 접수를 지난주 마감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부시센터 산하 정책연구소는 올해의 ‘북한자유장학금(North Korea Freedom Scholarship)’ 신청을 지난 8일 마감했다고 2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장학금 지원을 신청한 미국에 정착한 탈북자는 모두 16명입니다.

이 연구소의 미리암 스프라드링(Miriam Spradling) 선임 대변인은 지난해 신청자 수 14명보다 2명 늘었다면서 신청 서류를 면밀하게 검토한 후 최종 수혜자를 발표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스프라드링 대변인은 장학금 수혜자 발표는 오는 6월 초에 할 예정이라면서 신청자 열 여섯 명 모두를 지원하고 싶지만 제한된 자금을 가장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신중하게 적격자를 찾겠다고 밝혔습니다.

스프라드링 대변인: 매년 2만 5-6천 달러 규모로 다수의 지원자들에게 분할 지원됩니다. 대학교 등록금뿐만 아니라 미용이나 건축 등 기술을 배우거나 영어를 배우기 위한 학비지원 신청도 할 수 있습니다.

지난해는 10명의 탈북자들에게 모두 2만 6천 달러의 장학금이 전달됐습니다.

장학금을 받은 탈북자들은 대부분 미국 대학에서 의사와 금융인, 종교인이 되기를 꿈꾸며 학업에 열중하고 있는 대학생과 대학원생이었습니다.

스프라드링 대변인은 부시 전 대통령 시절인 2005년부터 미국이 탈북민을 난민으로 인정하며 받아들이기 시작한 이후 200명이 넘는 탈북민이 미국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했다면서 부시 센터가 장학금 지원을 결정한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부시센터 측은 미국 의회가 제정한 북한인권법이 미국에 정착한 탈북민의 체류 신분 합법화에 집중했지만 이들이 미국에 성공적으로 연착륙할 수 있도록하는 경제적 지원 부분에선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탈북자 장학재단 설립을 추진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미국에 정착한 탈북민들이 새로운 환경에 놀라울 정도로 잘 적응하고 있고 오히려 미국을 위해 기여하고 싶다는 의지를 밝힌다면서 탈북자에 대한 지원은 미국의 전체 이익을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