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 정부가 남북 정상 간의 합의에 따라 5월 1일부터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전단 살포를 중지하기로 한 데에 대해 한국 내 민간단체들은 전단살포를 강행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한국 정부는 대북전단을 날리는 단체들에 전단 살포 자제를 요청할 방침입니다.
이에 대해 자유북한운동연합은 북한 주민이 자유를 얻는 그 날까지 전단 살포를 계속할 것이라며 북한자유주간인 이번 주에도 대북전단을 날리겠다고 밝혔습니다.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 : 우리는 북한 인권단체로서 사명과 의무를 다하기 위해 대북전단을 날리는 겁니다. 5월 5일이든 풍향만 맞으면 대북전단 살포는 계속됩니다.
대북인권단체 노체인도 5월 1일 강화도에서 쌀과 이동식저장장치(USB)를 담은 2ℓ들이 페트병 약 500개를 바다를 이용해 북쪽으로 띄워 보낸다는 계획입니다.
정광일 노체인 대표 : 평화의 분위기가 형성되고 남북 정상의 만남이 이뤄졌다 하더라도 우리는 북한 주민들에게 계속 외부 정보를 제공할 것입니다.
다만 이들 단체는 남북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해 되도록 비공개로 전단을 살포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30일 북한주자유주간 행사에 참석한 미국의 인권단체 디펜스포럼의 수잔 숄티 대표는 대북 정보 유입이 북한을 변화시키는 가장 큰 무기라면서 관련 단체들을 격려했습니다.
숄티 대표 : 북한 정권이 선전선동을 통해 북한 주민들에게 계속해 온 거짓이 드러날 때 모든 것이 변할 것입니다. 북한 주민들이 진실을 알게될 때 독재정권은 무너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과거 한국 정부는 민간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에 대해 국민의 기본권인 ‘표현의 자유’에 해당하는 만큼 강제로 막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혀왔습니다.
앞서 한반도 인권·통일 변호사 모임도 지난 29일 관련해서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이들은 성명에서 남북 정상이 판문점 선언을 통해 비핵화와 평화선언를 했지만 그렇다고 해서 북한 인권을 훼손할 수 없다며 대북 확성기 방송과 전단 살포가 계속돼야 한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