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NGO “북한은 인도주의 위기국”

사진은 지난 2004년 일본 후지 TV가 공개한 북한내 정치범 수용소로 알려진 함경남도 요덕군 요덕수용소에 수감된 부녀자들의 모습.
사진은 지난 2004년 일본 후지 TV가 공개한 북한내 정치범 수용소로 알려진 함경남도 요덕군 요덕수용소에 수감된 부녀자들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제공)

0:00 / 0:00

앵커 : 스위스의 비정부 기구가 북한을 인도주의 접근성이 낮은 '인도주의 위기국'으로 분류했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비정부기구인 ACAPS(The Assessment Capacities Project)는 북한을 포함한 24개국을 ‘인도주의 위기국’으로 평가했습니다.

특히 ACAPS는 15일 ‘인도주의 접근성 보고서’(Humanitarian Access Report)를 통해 북한을 ‘인도주의 접근을 거의 할 수 없는 국가’(Nearly inaccessible)로 분류했습니다.

이번 보고서는 북한을 포함한 24개 ‘인도주의 위기국’을 인도주의 접근 가능성을 기준으로 ‘접근 불가’(Inaccessible), ‘인도주의 접근을 거의 할 수 없음’(Nearly inaccessible), ‘높은 제약’(High constraints) 등 총 3등급으로 구분했습니다.

이 기구에 따르면 북한에서는 인구 이동이 심하게 제한되고 있어 인도주의 지원의 진입이 방해받고, 이에 따라 지원이 필요한 주민에 대한 인도주의적 접근이 심각하게 제한되고 있습니다.

특히 이 기구는 평양 외곽의 도로망의 상태가 천차만별이며, 일부 지역은 겨울에 통행 불능 상태가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Road networks outside Pyongyang are of varying quality and in some areas become impassable during winter.)

아울러 이 기구는 “북한에서 한국과의 비무장지대(DMZ) 인근 접경 지대에는 수많은 지뢰가 설치돼 있기 때문에 접근하기가 어렵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이 기구는 “교화소나 노동수용소를 접근하기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보고서는 “국제 인도주의 단체들이 지원이 필요한 현장을 방문하기 위해서는 북한 당국의 사전 허가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지원계획이 사전에 준비돼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인도주의 지원 허가를 받더라도 북한 당국 소속 관리가 항상 동행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번 보고서를 살펴보면, ‘접근 자체가 불가능한 국가’는 아프리카의 에리트레아, 소말리아, 시리아, 예멘 등 4개국이며, 북한과 함께 ‘인도주의적 접근을 거의 할 수 없는 국가’는 아프가니스탄, 리비아, 베네수엘라, 남수단 등 11개국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어 ‘높은 제약국’(High constraints)은 아프리카의 카메룬, 에티오피아 등 9개국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번 보고서와 관련해 이 단체 관계자는 15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의 인도주의적 상황에 대한 내부 정보가 너무 부족해 분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ACAPS 관계자: 북한은 위기 상황에 대한 내부 정보가 너무 부족한 상황입니다.

한편, 이 기구의 ‘인도주의적 접근성 보고서’는 지난해 8월부터 6개월간 인도주의적 진입 장애, 활동 방해, 직원에 대한 폭력, 물리적 제약, 원조에 대한 필요성 거부 등 9가지 지표를 기준으로 평가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