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의회, 문 대통령 환영 결의안에 ‘인권 협력’ 촉구

0:00 / 0:00

앵커: 미국 연방 의회가 문재인 한국 대통령의 방미를 환영하는 결의안을 발의하면서, 인권 증진을 위해 한미 양국이 긴밀히 공조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19일 하원 외교위가 발의한 초당적 결의안은 인권 증진을 위한 미국 정부와 한국 정부 간의 지속적인 협력을 촉구했습니다. (calls for continued cooperation between the 2 Government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3 of Korea in the promotion of human rights)

이 결의안은 민주당 소속 그레고리 믹스 하원 외교위원장과 마이클 맥콜 외교위 공화당 간사, 동아태소위 위원장인 민주당 아미 베라 의원과 공화당 간사인 스티브 채봇 의원이 공동 발의했습니다.

특히 결의안은 한미 관계가 자유와 민주주의, 인권을 옹호하고, 평화와 안보, 법치를 증진하는 등 인도·태평양과 전세계에 걸쳐서 공동 안보와 이익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미국과 한국 국민은 자유를 수호하고, 개인의 자유와 인권을 옹호하며 법치를 존중한다는 뿌리 깊은 가치를 서로 공유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미 하원은 문재인 대통령의 미국 방문을 환영하고 두 국가 사이의 협력 확대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이 결의안을 발의한다면서, 이번 정상회담은 한미동맹이 강력하고 효과적이라는 명백한 신호라고 밝혔습니다.

하원에 앞서 지난 13일 상원 외교위에서도 초당적으로 발의된 문 대통령 환영 결의안에서도 인권의 증진을 위해 양국 간 긴밀한 공조를 촉구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상원에서는 민주당 밥 메넨데스 외교위원장과 짐 리시 공화당 간사, 에드 마키 공화당 의원과 밋 롬니 공화당 의원이 비슷한 내용의 결의안을 공동 발의했습니다.

미 의회는 동맹국 정상이 미국을 방문할 때 환영 결의안을 발의하는 전통이 있으며, 대체로 상원에서 환영 결의안이 발의되는 것이 보통인데 이번에는 상원과 하원에서 각각 같은 내용의 결의안이 발의됐습니다.

한편, 미국 의회 내 초당적 기구인 '톰 랜토스 인권위원회' 공동위원장인 크리스 스미스(Chris Smith) 연방 하원의원도 지난 1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한미 정상회담에 북한 인권문제가 논의돼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

스미스 의원: 민주주의와 자유, 인권 존중을 갖기 위한 열쇠는 진실과 정보에서 시작됩니다. 그리고 정보를 제한해 정보의 흐름이 방해를 받을 때 그것은 사람들로 하여금 계속 거짓말을 하도록 보장하는 것과 다름없습니다. 그것이 제가 문재인 대통령에게 최소한 하고 싶은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