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북한 물가와 해외 시세를 알아보는 ‘RFA 주간 프로그램-북한 물가’ 시간에 정영입니다. 이 시간에는 북한의 시장 활동과 대외 무역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물가 정보와 주요 환율 시세에 전해드립니다.
북한 신의주와 중국 단동을 연결하는 신압록강대교의 도로 개통 공사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길이 3천 미터에 왕복 4차선으로 된 신압록강 대교는 지난 2014년에 중국이 공사비 22억위안(3억달러)를 전액 부담해 이미 공사를 끝냈지만, 약 4km구간의 북한 측 도로공사가 마무리 되지 않아 근 5년간 방치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10월 경부터 북한이 공사에 착수해 현재 노반 아스팔트 공사가 한창 진행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단동의 한 주민 소식통은 “현재 북한 측 도로 공사 현장 사진을 중국 단동 텔레비전이 보도하고 있다”면서 “북한이 대규모 인력을 동원해 노반 토사를 쌓고 아스팔트 포장을 시작했다”고 4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중국측이 촬영한 공사 현장 사진에는 수백명의 주민들이 노반 공사를 다그치고 있는데, 중장비는 거의 없이 인력으로 작업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측에서 바라볼 때 도로 왼쪽에는 북한 세관과 국경통행검사소와 같은 관공서가 들어설 것으로 보입니다.
신압록강대교 개통 도로공사가 본격 시작되면서 북한 남신의주 일대에는 부동산 열기가 살아날 것으로 보입니다.
압록강 대교가 건설되면 중국에서 넘어오는 물건을 보관해야 하는 보세 창고가 필요합니다. 외국의 경우, 사람들이 국경세관 근처에 창고를 지어 임대하는 부동산 장사의 인기가 높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토지가 국가 소유이기 때문에 개인이 토지를 매입해 창고를 지을 수 없지만, 외화벌이 기관이 창고를 지어 임대를 하는 사업은 인기가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2013년경 몇몇 북한의 군대 무역회사들은 이러한 이점을 알고 40만~50만 달러의 돈을 투자해 남신의주 일대에 창고와 사무실도 지었지만, 다리가 개통되지 않자 무산된 바 있습니다.
신압록강대교가 개통되면 남신의주 주변 아파트 시세도 오를 것으로 보입니다.
이름을 밝히지 않은 한 북한 무역관계자는 “2013년에 중국이 압록강 대교를 한창 건설할 때 남신의주 방 2칸짜리 아파트는 1만 달러까지 올랐지만, 그 뒤 다리 개통이 이뤄지지 않아 절반으로 떨어진 적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이 신압록강대교 개통 공사를 최근 들어 속도를 내어 진행하는 것은 지난해 6월 평양을 방문했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북한 김정은에게 대교 개통 비용 부담을 약속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단동의 소식통은 “이해 타산에 아주 밝은 중국 사람들의 돈을 끌어다 쓰는 북한의 수법은 정말 대단하다”는 말도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은 3억 달러 가까이 드는 신압록강대교 건설을 전액 부담하고, 대교 끝단에서 신의주-평양1번 국도까지 이어지는 도로공사를 북한에서 맡을 것을 요구했지만, 여러 논란 때문에 진척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4차례 회담하면서 중국의 지원을 이끌어 내는 데 성공했다는 것입니다.
북한이 신압록강대교 개통 공사에 적극 나선 것은 심각한 북한 경제난 때문이라는 지적도 있습니다.
북한은 신형 코로나비루스(코로나 19)가 중국에서 확산되자, 지난 1월 20일 북중 국경을 전면 폐쇄했습니다.
이에 따라 북한 전체 무역의 약 90%를 차지하는 중국과의 무역이 지난 3월에는 90% 줄어들었습니다.
북한이 신형 코로나 비루스 확산을 막기 위해 전국적으로 비상방역체계를 세우고 주민 호상간 접촉을 강력 통제하는 와중에도 도로공사에 대규모 주민들을 동원시킨 것도 이러한 예상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국제 환율 시세입니다.
5월4일 미국 외환시장에서 달러와 중국 위안화의 환율은 1대 7.06입니다. 달러대 유로화는 1대 0.917, 달러대 일본 엔화는 1대106.77입니다. 현재 달러대 한국 돈의 가치는 1대1,226원이고, 한국 돈과 중국 돈의 환율은 100만원당 5천760위안입니다.
다음은 금 시세입니다. 5월4일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순금 1트로이 온수(troy ounce)당 가격은, 즉 31.1그램은 1,691달러, 뉴욕상품거래소(COMEX) 기준으로는 1,694.5달러입니다.
한편 5월 4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1배럴(158.9리터)당 19.78 달러이고, 중동산 두바이유는 25.3 달러,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북해산 브렌트유는 1배럴당 26.44달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