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세계경제 전망과 북한

0:00 / 0:00

앵커 :최근 북한 물가와 해외 시세를 알아보는 'RFA 주간 프로그램-북한 물가' 시간에 정영입니다. 이 시간에는 북한의 시장 활동과 대외 무역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물가 정보와 주요 환율 시세를 전해드립니다.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2022년은 ‘검은 호랑이의 해’ (임인년)입니다.

속칭 “범이 내려온다”는 말처럼 올해에 세계 경제 전망은 어떨지 요즘 세계 주요 언론은 각종 분석을 내놓고 있는데요. 북한 주민들도 올해 경제는 어떨지 우려 반 희망 반으로 궁금해하실 것입니다.

2022년 세계 경제는 인플레이션 우려와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적신호가 켜졌다고 세계 경제계는 보고 있습니다.

우선 코로나-19에 대비해 세계 주요국가들이 경기부양책을 대대적으로 실시한 결과 인플레이션 악화되고, 이는 물가 상승으로 이어졌습니다. 미국을 비롯한 세계 주요국가들은 이 물가를 잡기 위해 화폐 발행량을 줄이고 은행 금리를 올려야 하지만, 금리를 올리자니 최근 급속도로 퍼지고 있는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등장해 찬물을 끼얹고 있습니다.

그래서 경제가 또다시 수렁으로 빠져들까 봐 고민하는 모양새인데요.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21년 10월 기준으로 6.2%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31년만에 최고치인데요. 이에 따라 물가를 잡기 위해 화폐발행을 단계적으로 축소하고 은행 이자(금리)를 인상하는 조치를 올해 초부터 실시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최근 미국의 투자기관인 골드만삭스는 미국의 2022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전망치를 3% 아래로 예측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하고 유럽에서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고 있는데요.

한편,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여러 금융 기관들은 2022년도 남한 경제성장률은 3%대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세계 공장이라고 부르는 중국 경제 상황도 밝지 않습니다. 세계은행(World Bank)은 최근 중국 경제보고서에서 2022년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5.1%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CNN에 따르면 세계은행은 오미크론 변이 확산과 심각한 부동산 부문 침체 등 역풍에 직면한 중국의 경제 성장이 둔화될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의 대대적인 규제로 인해 지난해 부동산 최대 개발업체인 헝다가 파산 위기에 직면하기도 했습니다.

게다가 미국, 호주, 캐나다, 영국, 뉴질랜드 등 서방 국가들이 올해 2월 열리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참가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하면서 국제적 지위 면에서도 손상을 입고 있습니다.

중국이 베이징 동계올림픽 외교적 보이콧을 이유로 이 국가들과 대립할 경우 경제안보를 둘러싼 갈등도 격화될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그러면 북한의 경제 전망은 어떨까요?

남한 통계청이 지난해 12월 23일 발표한 ‘북한의 주요 통계지표’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 경제는 -4.5% 역성장하고 무역총액은 8억6천만달러로 전년보다 73.4% 감소했습니다.

2022년에도 북한 경제는 여전히 낙관적이지 않다는 게 외부의 시각입니다. 우선 코로나-19로 취한 국경봉쇄가 오미크론 변이 확산 공포로 완화될 조짐이 없고, 미국의 대북제재 포위망은 느슨해질 기미가 전혀 없기 때문입니다.

북한은 지난해 8차 당대회에서 새로운 국가경제발전5개년 계획을 내놓았지만, 자력갱생의 초인간적 인내와 희생으로 난관을 극복할 것을 강요할 뿐 경제를 실제로 살릴 수 있는 현실 가능성은 전무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입니다.

북한은 현재 국제사회가 제공하겠다는 코로나-19 백신 지원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고 민간요법에 의한 치료를 장려하면서 버티고 있는 형국입니다.

또 5월에는 남한에 새 정부가 들어서 어떤 대북정책을 펼지 불투명합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2022년에도 경제악화로 인한 북한 주민들의 불만을 막기 위해 내부 단속을 강화할 것으로 남한 대북 전문가들은 평가하고 있습니다.

최지영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북한은 대북제재와 보건위기가 장기화되는 상황에서 최대한 그럭저럭 버티는 방향으로 경제정책을 운영할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습니다.

다음은 국제 환율 및 주요 물가 시세입니다.

1월 3일 미국 외환시장(https://www.x-rates.com)에서 달러와 중국 위안화의 환율은 1대 6.37입니다. 달러대 유로화는 1대 0.88, 달러대 일본 엔화는 1대114.8엔입니다. 현재 달러대 한국 돈의 가치는 1대1,187원이고, 한국 돈과 중국 돈의 환율은 100만원당5천 367위안입니다.

다음은 금 시세입니다. 1월 3일 런던금속거래소(https://www.lme.com)에서 순금 1트로이 온수(troy ounce)당 가격은, 즉 31.1그램은1,808달러,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는 1,811달러입니다.

다음은 국제원유 가격입니다.

1월 3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1배럴(158.9리터)당 73.79달러, 중동산 두바이유는 72.99달러,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북해산 브렌트유는 1배럴당 75.79달러입니다.

기사작성 정영, 에디터 이진서,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