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최근 북한 물가와 해외 시세를 알아보는 'RFA 주간 프로그램-북한 물가' 시간입니다. 오늘은 북한 강철 수입수출이 금지된 상황과 해외시세에 대해 전해드립니다. 보도에 정영기자입니다.
북한의 강철공장들이 유엔대북제재로 인해 수출길이 막혀 고전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강철산업 사정에 밝은 한 탈북민 소식통은 “현재 유엔대북제재로 인해 강철 수출길도 막혔다”면서 “제재 이전에는 중국에 톤당 400달러에 팔았지만, 지금은 북한 내부에서 톤당 250달러도 받지 못하고 있다”고 21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말했습니다.
그는 “중국이 강철을 사가지 않기 때문에 북한의 강철공장에서 순환생산을 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국내수요가 있어야 하는데, 가격이 너무 낮아 톤당 250달러는 생산 원가 수준”이라고 그는 언급했습니다.
이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강철공장에서는 노동자들에게 식량과 월급을 주지 못하고 있고, 노동자들은 아내들이 장사로 버는 수입으로 생활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세계 비철금속거래의 중심인 런던 금속거래소(LME)에서 강철 톤당 가격은 1월 16일 현재 446달러입니다. 한달전보다 톤당 30달러 내렸습니다. 한편 런던 금속거래소에서 16일 현재 고철 톤당 가격은 285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보름전보다 15달러 내린 가격입니다.
북한에는 강철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큰 잠재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무산광산과 은률광산 등 굴지의 쇳돌 자원이 있고, 대규모 제철소가 있어 강철을 생산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함경북도 무산광산은 매장량이 17억톤으로 알려졌고, 노천광산, 즉 산 겉면이 쇳돌로 이루어져서 채굴과 수송에 있어서 유리합니다. 다만 함철 품위가 35%여서 질좋은 광물이라는 평가는 받지 못하나, 현대 기술로는 얼마든지 강철 생산을 높일 수 있다는 전망을 갖추고 있습니다.
여기서 생산된 쇳돌은 김책제철소로 운송되며 김책제철연합기업소의 연간 강철생산능력은 600만톤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외 연간 145만톤 규모로 알려진 황해제철소를 비롯해 북한에는 여러 강철생산지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콕스를 비롯한 수입 연료에 의존하게 되면서 생산은 정상화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게다가 유엔대북제재로 수출길이 막히면서 북한의 강철산업은 거의 가동이 중단상태에 처했다는 게 소식통의 설명입니다.
2017년 12월 채택된 유엔안전보장리사회 결의 2397호에 따르면, 유엔회원국들은 북한에 산업기계, 운송수단, 철강 등 금속류를 수출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북한은 강철을 들여가지도 못하고, 외부로 수출할수도 없게 되었습니다.
또 유엔결의 2375호에는 북한과의 합영합작 금지조항도 포함되어 있어 북한과 합영중이거나, 합영을 추진하던 중국 기업들이 줄줄이 손을 뗐습니다. 2016년에 비해 올해 북한의 수출규모가 10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남한 경제학자들은 전망한 바 있습니다.
북한 내부의 강철 수요도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남한의 조선일보는 연간 2만대 이상의 트럭을 생산하던 금평자동차합영회사, 평양 '모란봉 자전거'를 만들었던 평진자전거합영회사 등 북중 합영기업들도 중국측의 철수로 생산이 부진한 것으로 알려집니다.
한때 북한 김책공업구에 제철소 건설을 추진했던 중국 탕산(唐山)강철그룹도 철수를 결정했다고 한국 언론은 전했습니다.
북한에 대한 유엔제재 조치는 원산갈마해양관광지구 개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한 소식통은 북한이 건설 강재를 중국으로부터 들여가야 하지만, 세관에서 막혀 들여가지 못하게 되면서 갈마해안 관광지구 내부공사도 못하고 있다는 겁니다.
유엔은 유엔성원국들이 대북제재 결의를 제대로 이행하는지, 수시로 점검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국제환율시세입니다.
1월 18일 미국 외환시장에서 달러와 중국 위안화의 환율은 1대 6.78입니다. 달러대 유로화는 1대 0.879, 달러대 일본 엔화는 1대109.65엔입니다. 현재 달러대 한국돈의 가치는 1대1,123원이고, 한국돈과 중국돈의 환율은 100만원당6,031위안이었습니다.
다음은 금시세입니다. 1월 18일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순금 1온수당 가격은, 즉 28.3그램은 1,292달러,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는 1,291달러입니다.
한편 1월 18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1배럴(158.9리터)당 52.7달러, 중동산 두바이유는 58.86달러,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북해산 브렌트유는 1배럴당 61.18달러입니다.
<쉽게 풀어보는 북한 물가> 오늘은 북한의 강철 수출 현황과 국제시세에 대해 전해드렸습니다. 보도에 rfa 자유아시아방송 정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