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최근 북한 물가와 해외 시세를 알아보는 'RFA 주간 프로그램-북한 물가' 시간에 정영입니다. 이 시간에는 북한의 시장 활동과 대외 무역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물가 정보와 주요 환율 시세에 전해드립니다
"지구를 보호하자"는 글로벌 기후 변화에 대한 각국의 관심이 집중되면서 전세계적으로 친환경 에너지에 의거한 전기차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대응을 후보공약으로 내세웠던 민주당 출신의 바이든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향후 미국 정책이 친환경 에너지 개발로 이어질 것이란 기대감에 세계 원자재 가격도 상승하고 있습니다.
특히 친환경 제품인 전기자동차 배터리 핵심부품에 들어가는 코발트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갈아대고 있습니다.
1월 28일 영국 런던금속거래소에서 코발트 선물 가격은 톤당 4만1,245달러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코발트 가격이 지난해에 비해 30% 가량 상승한 것은 미국과 유럽연합(EU), 중국이 전기차 시장 확보 경쟁에 뛰어들었기 때문이라고 경제계는 평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미국 정부 기관에서 사용하는 차량을 전부 전기차로 바꾸겠다고 발표하면서 전기 자동차 생산업체의 주가가 일제히 상승하는 효과로 이어졌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연방 정부가 물품을 조달할 때 미국산을 우선 구매해야 한다는 '바이 아메리칸(Buy American)' 행정명령에도 서명했습니다.
글로벌 전기차 조사업체인 EV볼륨즈에 따르면 2020년에 전세계적으로 전기차 판매량은 324만대였습니다. 이 가운데 중국이 134만대로 1등을 달리고 있고, 독일이 39만대로 2등, 미국이 32만대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앞으로 전기차 생산이 확대되면 코발트의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코발트는 전기차 배터리 성능을 결정하는 양극재에 사용되는데, 양극재의 부식 및 폭발 위험을 제어하는 데 필수적인 물질입니다.
현재 세계적으로 코발트 물량이 가장 많은 나라는 아프리카의 콩고민주공화국입니다. 이 나라는 전세계 코발트 생산량의 약 70%를 차지하는데, 중국은 수년전부터 자원 확보를 위해 콩고민주공화국에 투자해 사실상 코발트 생산 지배권을 확보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습니다.
그러면 세계 손꼽히는 지하자원 부국으로 알려진 북한의 상황은 어떨가요?
북한에도 코발트 광상(광산)이 있는 것으로 알려집니다. 코발트 광상은 함경북도 회령시에 있는 회령광상과 함경남도 달전 지방에 있는 달전 광상 등으로 알려졌습니다. 코발트는 황화광 형태로 구리광석에 함유되어 있어 여러 동광산에서도 채취가 가능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남한의 김동환 국제전략자원연구원장은 북한 코발트광산 개발시 6천322억원(미화 약 6억 달러), 니켈광산 개발시 1조4231억원(10억 달러 상당)의 수입대체 효과가 예상된다고 2019년 한국 국회에서 열린 북한광물자원개발포럼에서 밝힌 바 있습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현재 북한에는 700여개의 광산이 있으며, 북한의 지하자원 잠재가치는 약 7조 달러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자체 개발이 어려워 중국과 합영합작으로 개발하고 있는데, 북한 광산에 대한 외국인투자 중 74%가 중국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남한의 전상세 광물자원공사 남북자원개발사업단 팀장은 밝혔습니다.
북한 대외교역 상황에 밝은 중국의 한 소식통은 "코로나 사태가 터진 이후 북한이 북중 국경을 봉쇄한 이후 합영 합작 때문에 북한에 상주했던 중국인들이 대부분 철수했다"면서 "나진 선봉시에 나온 중국인들도 손에 꼽을 정도이기 때문에 사실상 북중 교역은 중단되다 시피 했다"고 29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말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에 지하자원이 아무리 많다고 해도 판매가 어렵습니다.
북한의 핵과 장거리 미사일 시험발사에 들어가는 자금줄을 죄기 위해 유엔안전보장이사회가 지난 2017년 3월 대북제재 결의안 2270호를 채택했기 때문입니다. 이 결의안에 따르면 북한은 석탄과 철, 철광석은 물론, 구리, 니켈, 은, 아연 등 희유금속 수출을 금지되었습니다.
다음은 국제 환율 시세입니다.
1월 29일 미국 외환시장에서 달러와 중국 위안화의 환율은 1대 6.42입니다. 달러대 유로화는 1대 0.824, 달러대 일본 엔화는 1대104.7엔입니다. 현재 달러대 한국 돈의 가치는 1대1,117원이고, 한국 돈과 중국 돈의 환율은 100만원당5천749위안입니다.
다음은 금 시세입니다. 1월 29일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순금 1트로이 온수(troy ounce)당 가격은, 즉 31.1그램은1,83973달러,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는 1,837.9 달러입니다.
한편 1월 29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1배럴(158.9리터)당 52.34 달러, 중동산 두바이유는 54.45달러,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북해산 브렌트유는 1배럴당 55.10달러입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