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여성들 속에서 인기인 모피 가격

0:00 / 0:00

앵커: 최근 북한 물가와 해외 시세를 알아보는 'RFA 주간 프로그램-쉽게 풀어보는 북한 물가' 시간입니다. 오늘은 북한에서 유행되고 있는 모피 옷의 가격과 해외 추세에 대해 전해드립니다. 보도에 정영기자입니다.

유달리 추운 올해 겨울동안 북한에서는 모피옷이 유행이 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평양은 물론 혜산과 신의주 등 국경도시 여성들 속에서는 모피 외투가 유행이 되었다고 양강도 출신의 탈북여성이 한국 예능프로그램에 출연해 말했습니다.

<사운드 바이트>

이 여성은 “북한에 있을 당시 두가지 색갈로 된 모피 코트를 입어봤다”면서 “친구들은 모피 옷을 구해달라고 윗돈까지 주면서 부탁했다”고 이야기 했습니다.

외국에서 생산된 여우 모피, 너구리 모피 등은 한벌에 수천위안, 심지어 수천 달러가 넘지만 평양의 부유층들은 선호한다는 게 그의 설명입니다.

한 탈북자도 간부 아내들은 무역업자들로부터 받은 고가의 밍크 모피 옷을 선호한다고 말했고, 진짜 모피가 아닌 인조 모피 옷을 입는 사람들을 낮게 평가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번에 평창동계올림픽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 중인 북한 예술단과 응원단 성원들도 모피 모자와 칼러가 까만 모피를 댄 빨간 외투를 입고 내려와 눈길을 끌었습니다.

특히 북한 삼지연관현악단을 이끌고 있는 현송월의 의상은 한국 언론에서 단연 화제가 되었습니다.

<사운드 바이트>: 현송월은 화려하고 세련된 옷차림, 긴색머리에 하얀 핀을 하고 있고 모피 목도리를 해서 패션업계 관계자들에게 물어봤더니 여우털로 추정된다고 하시더라구요.

북한 응원단, 예술단이 전통적인 한복인 조선치마저고리를 입은 것이 아니라 새형의 스타일로 남한을 찾은 것은 이번 행사를 통해 외부세계에 주려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고 언론은 분석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평양출신의 탈북자는 “일반 시민들은 오리털 솜옷과 나일론 솜동복을 착용하지만, 이번 공연단 응원단의 경우 국가에서 단체로 해주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합니다.

북한 출신 여성: 예술단원 같은 경우에는 해외 공연도 많고 대외적인 행사가 많기 때문에 국가가 해외에서 직접 공수해다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를 보는 한국 시민들이나 외국인들의 반향은 이례적입니다.

한때 모피 옷은 한국에서도 유행이 되었지만, 현재는 가볍고 따뜻한 합성 섬유제품 옷이 나오면서 모피 제품은 선호도에서 크게 밀렸다고 한국의 40대 직장인은 말했습니다.

그는 “모피 진품 옷은 고가제품이고 따뜻하기 때문에 수요가 완전 없어진 것은 아니지만 모든 사람들이 다 찾는 유행은 아니다”고 말했습니다. 북한 대표단을 보는 한국 시민들도 “70~80년대 한국 유행이 생각난다”고 반응했습니다.

외부사회에서 모피 제품에 대한 수요가 떨어진 것은 동물을 학대하지 말자는 동물보호단체의 반발이 한몫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모피는 어디에서 생산되고 얼마에 거래될까요?

현재 중국은 최대 모피 생산국입니다. 몇 년 전 한국의 한 텔레비전 취재진이 모피 옷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중국의 모피생산 현장을 잠입 취재했습니다.

취재진은 중국의 모피 생산지인 하북성으로 이동해 토끼와 여우, 너구리 등을 가두어놓고 키우는 모피 농가와 모피를 거래하는 최대 시장인 상춘 시장을 취재했습니다.

질좋은 모피를 얻기 위해 동물의 가죽을 산채로 벗기고, 동물을 철창속에 가두어 키우면서 학대하는 현장이 공개되면서 시청자들에게 상당한 충격을 주었습니다.

현재 중국시장에서 밍크 가죽 한장에는 340위안에 거래된다고 합니다. 밍크코트 한벌 만들자면 최소한 밍크 여러마리가 죽는다고 합니다.

국제모피연합에 따르면 2015년 한해동안 죽은 밍크의 수는 8천만 마리로 나타났습니다. 시장 규모는 약 400억달러라고 합니다.

중국이 세계 최대 모피 생산국인데 일년에 약 3천 만마리에 달하고, 덴마트, 폴란드, 네델란드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최근 들어 모피업종은 동물보호단체의 강한 반발에 부딪치고 있는데요, 중국의 한 동물보호협회장은 “사람들이 모피옷을 입지 않으면 동물학대를 막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다음은 국제환율 시세입니다.

2월 12일 미국 외환시장에서 달러와 중국 위안화의 환율은 1대 6.32입니다. 달러대 유로화는 1대 0.816, 달러대 일본 엔화는 1대108.5엔이었습니다. 현재 달러대 한국돈의 가치는 1대1,084원40전이고, 한국돈과 중국돈의 환율은 100만원당5,837위안이었습니다.

다음은 금시세입니다. 2월 12일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순금 1온수당 가격은, 즉 28.3그램은 1,313달러,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는 1,313.1달러입니다. 미국 증시가 내리면서 큰폭으로 하락했습니다.

한편 2월 12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1배럴(158.9리터)당 59.2달러, 중동산 두바이유는 61.22달러,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북해산 브렌트유는 1배럴당 62.79달러였습니다. 최근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쉽게 풀어보는 북한 물가>, 오늘은 북한에서 유행되고 있는 모피 옷의 가격과 해외 추세에 대해 전해드렸습니다. 이상, RFA 자유아시아방송 정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