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최근 북한 물가와 해외 시세를 알아보는 'RFA 주간 프로그램-쉽게 풀어보는 북한 물가' 시간입니다. 오늘은 북한의 원유가격 폭등 현상과 다른 나라들의 상황은 어떤지 전해드립니다. 보도에 정영기자입니다.
‘기름 한방울 나오지 않는 나라’라는 수식어가 붙는 나라는 대표적으로 남과 북입니다.
남한은 기름이 나오지 않지만, 자동차는 2017년 6월 기준으로 2천200만대였습니다. 한편 남한 통계청에 따르면 북한은 2015년 기준으로 모두 27만대로 나타났습니다.
북한이 통계를 발표하지 않기 때문에 남한이 대신 발표해서 정확치 않지만, 그래도 큰 차이는 없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한국은 5천만 인구에 2천200만대니, 2명당 1대씩 있는 셈입니다. 대신 북한은 인구 100명당 1대씩 있는 셈입니다.
한국은 기름이 나지 않는 나라인데도 자동차는 다 굴러갑니다. 자가용 타는 사람들도 있고, 개인사업용으로 타는 사람들도 있고, 공공버스도 있고, 택시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차가 많아도 북한보다 기름값이 비싸지 않습니다. 한국 석유공사가 3월 16일 공개한 가격표에 따르면 현재 한국의 휘발유 값은 1리터당 1천557원이었습니다. 달러로 치면 1리터당 1.4달러입니다.
반면 북한에서는 휘발유1kg은 3달러를 넘어섰습니다.
남한의 NK지식인연대가 최근 공개한 물가표에 따르면 휘발유는 3월에 kg당 2만8천원(미화 3.29달러)이었습니다. 지난해 11월에 2만1천(미화 2.4달러)이었는데, 약 7천원 오른셈입니다. 현재 북한의 암달러 시세는 1달러당 8천 500원으로 알려집니다.
한편, 디젤유는 3월에 kg당 2만2천원(미화 2.58달러)였습니다. 이는 지난해 11월(1만5천원)에 비해 7천원가량 상승한 셈입니다. 그래서 북한에서는 “지금 자동차 굴리는 것은 길바닥에 달러를 뿌리는 것과 같다”는 말이 나온다고 그는 말했습니다.
예를 들어 북한의 탱크는10km를 달리는 데 디젤유 40리터를 소비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결국 탱크가 25리를 가는데 100달러를 길바닥에 뿌리는 것과 마찬가집니다.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1990년대에 “현대 전쟁은 기름전쟁, 알전쟁이다."이라고 규정했습니다. 현대 전쟁의 승부는 기름과 총알에서 결정된다는 관점을 갖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북한에서 기름값이 폭등하면서 땅크나 자행포와 같은 기동수단들이 기동할 지 미지수입니다.
한 고위 탈북인사에 따르면 북한은 원유가 부족하면 내각과 성, 중앙기관 주요 상급 간부들을 제외하고 부상들까지 모두 전용차를 세워두고 승합차로 집단 출퇴근 시키고 있습니다.
내각의 부상의 경우 2명이 전용차 1대씩 쓰도록 배정했지만, 지금처럼 기름이 고갈된 상황에서는 보통 직원들처럼 출퇴근 하도록 통제한다는 것입니다.
연대장 급 이상 북한군의 주요 부대장들의 경우 짚차를 보유하고 있는데 지금은 전용차 운행을 자제하고, 탱크와 장갑차, 비행기와 같은 기동수단들도 기동을 못하는 실정이라고 합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북한은 “지금 제국주의자들이 기름을 비롯한 중요 전략물자들을 다 막았다”면서 기름을 절약하기 위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북한은 중국으로부터 연간 50만~100만톤의 원유를 공급받았습니다. 하지만, 중국은 유엔안보리 제재결의에 따라 지난 4개월째 원유 수출을 중단했다고 최근 한국 언론이 밝혔습니다.
한편, 미국에서 보통 휘발유 가격은 1갤런당 2.5달러입니다. 1갤런은 액 4리터로, 1리터당 0.7달러 수준입니다. 2017년 기준으로 미국에는 자동차 2억 5천만대가 있습니다.
미국은 세계적으로 원유 매장량이 가장 많은 나라로 알려졌습니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이 밝힌데 따르면 미국의 원유 매장량은 352억배럴입니다.
2015년에 셰일가스라는 화석원료 채취가 본격화되면서 미국은 원유수입을 중단하고 반대로 수출하는 나라로 탈바꿈했습니다. 미 언론에 따르면 미국은 2018년 기준으로 한달에 약 2천만배럴의 원유를 수출하고 있습니다. 2026년에는 순 에너지 수출국이 될 전망입니다.
이를 전망해 남한의 국제정치 학자는 “미국은 앞으로 300년동안 쓸 기름이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다음은 국제환율 시세입니다.
3월16일 미국 외환시장에서 달러와 중국 위안화의 환율은 1대 6.33입니다. 달러대 유로화는 1대 0.81, 달러대 일본 엔화는 1대106.1엔이었습니다. 현재 달러대 한국돈의 가치는 1대1,070원이고, 한국돈과 중국돈의 환율은 100만원당5,917위안이었습니다.
다음은 금시세입니다. 3월16일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순금 1온수당 가격은, 즉 28.3그램은 1,317달러,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는 1,316.8달러입니다. 한달째 내림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편 3월 16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1배럴(158.9리터)당 61.19달러, 중동산 두바이유는 61.48달러,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북해산 브렌트유는 1배럴당 65.12달러였습니다. 약간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쉽게 풀어보는 북한 물가>, 오늘은 북한의 원유가격 폭등 현상과 다른 나라들의 상황은 어떤지 전해드렸습니다. 이상, RFA 자유아시아방송 정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