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토종 달걀 생산과 해외 시세

0:00 / 0:00

앵커: 최근 북한 물가와 해외 시세를 알아보는 'RFA 주간 프로그램-쉽게 풀어보는 북한 물가' 시간입니다. 오늘은 북한 토종 닭알(한국 표현 달걀) 생산과 해외 시세에 대해 전해드립니다. 보도에 정영기자입니다.

최근 북한에서 물가가 치솟는 가운데 달걀가격도 많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북중 국경지방 한 소식통은 “북한에서 닭알가격도 크게 올라 한 알당 1,100원에 거래된다”면서 “이는 지난해 11월에 800원 하던 것에 비해 30%가량 올랐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강냉이 1kg은 2천원 가량 하는데, 달걀 2알과 맞먹는다는 게 소식통의 설명입니다.

소식통은 “북한에서 쌀과 고기 등 다른 물가는 중국보다 절반 정도 눅지만, 닭알은 중국보다 값이 비슷하거나 같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이 제공한 사진을 보면, 남한이나 중국에서는 달걀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닐이나 종이로 압착된 용기를 쓰지만, 북한에서는 벼짚으로 만든 꾸러미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남한에서 탈북민들이 운영하는 대북방송에 따르면 지난해말 함경북도 회령 지방에서 계란 1알당 750원에 거래됐지만, 최근에는 천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북한에서는 사료부족으로 닭공장 운영이 어렵기 때문에 닭알이 귀하다고 합니다. 복수의 무역업자들은 북한은 전염병 방역체계가 미약해 대량 사육이 어렵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일반 농촌에서 닭을 놓아 키우기 때문에 토종닭이 많은데 비해 양은 적습니다. 방생하는 닭은 운동량이 많고 사료를 먹지 못하면 달걀을 정상적으로 낳을 수 없습니다. 때문에 달걀의 양이 적어 가격이 높습니다.

그러면 외국에서는 달걀을 어떻게 생산할까요?

남한에서는 토종 달걀을 가리켜 자연산이라고 부르고, 미국에서는영어로 ‘올게닉’이라고 부릅니다. 외국에서는 닭공장에서 달걀을 대량 생산하기 때문에 가격이 눅습니다. 남한의 경우 닭을 키우는 양계장이 수천가구에 달하기 때문에 계란 가격이 높지 않습니다. 한국 재래시장에서는 30개짜리 계란 한판은 7천원대, 즉 미화 7달러 수준입니다.

하지만, 도매가격은 이보다 더 낮은데요, 잠시 계란값과 관련한 녹음을 들어보시겠습니다.

<음성 녹취> 특란 10개 가격은 지난달 1,117원으로 지난해 9월 1,409원을 기록한 뒤 꾸준히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광주 전남 230만 마리를 비롯해 올해 전국 산란계 수는 6천 3백여만 마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공급 과잉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점도 계란값 하락의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현재 한국의 환율은 1대 1070원으로, 계란 10알에 1달러가 좀 넘습니다.

이처럼 외부에서는 공급이 과잉되어 계란값이 떨어진다는 보도가 잇따라 나오고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전염병이 돌아 양계장의 닭을 집단 폐사시켰다는 보도가 드문히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대형 할인매장에서 올게닉 달걀은 24알에 6달러 정도 합니다. 하지만, 대형 계란(Large eggs USDA grade)는 60알에 4.3달러입니다. 한알에 7센트씩 하는 셈입니다. 이는 연간 수입이 5만 달러에 가까운 증산층 미국인들에게는 부담이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의사 월급이 4천원인 북한에서는 큰 부담이 된다고 탈북민들은 말하고 있습니다.

<음성 녹취>한달 월급이 4천원입니다. 이 4천원, 월급쟁이 중에서 많이 받는 수준인데, 실제로 장마당에서 거래되는 제품을 비교해봤더니 계란 한 개당 800원입니다. 이 계란 다섯개만 사면 한달 월급 다 쓰는 셈입니다

중국도 마찬가집니다.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농민들도 자체로 닭공장을 만들어 닭고기도 생산하고 계란도 생산해 팔고 있습니다. 때문에 시장에서 계란 값은 아주 눅습니다.

미국에 정착한 한 탈북민은 “북한을 떠나 중국에 처음 도착했을 때, 닭알이 아주 눅은 것을 보고 놀랐다”면서 “혼자서 30알의 계란을 먹은 적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많이 먹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다음은 국제환율 시세입니다.

4월 2일 미국 외환시장에서 달러와 중국 위안화의 환율은 1대 6.28입니다. 달러대 유로화는 1대 0.81, 달러대 일본 엔화는 1대106.3엔이었습니다. 현재 달러대 한국돈의 가치는 1대1,055원이고, 한국돈과 중국돈의 환율은 100만원당5,949위안이었습니다.

다음은 금시세입니다. 4월 2일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순금 1온수당 가격은, 즉 28.3그램은 1,323달러,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는 1,322.8달러입니다. 전날에 비해 약간 내림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편 4월 2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1배럴(158.9리터)당 64.94달러, 중동산 두바이유는 66.19달러,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북해산 브렌트유는 1배럴당 70.27달러였습니다.

<쉽게 풀어보는 북한 물가>, 오늘은 북한의 토종 닭알 생산과 해외 시세에 대해 전해드렸습니다. 이상, RFA 자유아시아방송 정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