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물가] 국제 비료 값 상승과 북한 비료 수급 전망

0:00 / 0:00

앵커 :북한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최근 북한 물가와 해외 시세를 알아보는'RFA 주간 프로그램-북한 물가' 시간에 정영입니다. 이 시간에는 북한의 시장 활동과 대외 무역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물가 정보와 주요 환율 시세를 전해드립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시작된 국제유가와 원자재 상승은 비료 값 상승으로 이어져 내년도 식량안보를 우려하는 각국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3월 30일 기준 뉴욕 상업거래소에서 서부텍사스산 원유가격은 1배럴당 107달러를 넘고, 국제곡물 시장에서 옥수수와 밀 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최대 45% 가량 상승했습니다.

그 가운데 농사에 절실히 필요한 비료 가격도 상승했습니다.

지난달 18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러시아가 이달 초 비료 수출을 중단하고 우크라이나와 리투아니아가 자국 항구를 통한 벨라루스산 카리비료 (칼리비료)이송을 금지시키고, 이어 우크라이나도 비료 수출을 금지하면서 중국의 비료 수입에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보도했습니다.

중국은 러시아와 벨라루스로부터 칼리비료를 수입해왔으나,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비료 가격이 폭등해 농사 비용을 상승시키고 농민들의 수입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중국 농업부 산하 농민일보도

경고했습니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에서 칼리비료 1톤당 가격은 4천930위안으로 전년 같은 시기에 비해 두 배 이상 올랐습니다.

남한 연합뉴스는 중국국제금융공사(CICC)의 최근 보고서를 인용해 “원유와 비료 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 비용 증가로 옥수수와 밀 같은 중국 농작물의 가격 상승 압력이 커졌다”고 전했습니다. 중국의 비료 공급 불안정은 곧 북한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북한이 매년 영농 초기에 중국으로부터 칼리비료를 수입해왔기 때문입니다. 북한은 코로나 방역 조치로 북중 국경이 폐쇄됐던 2020년 4월초에도 중국에서 비료를 긴급 수입한 바 있습니다.

중국 단동 사정에 밝은 한 대북관계자는 “올해 1월 북한으로 두차례 화물열차가 긴급 물자를 싣고 들어간 뒤, 그 외 다른 교역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이전 같으면 북한이 연초에 중국에서 비료와 영농자재를 수입해갔는데 올해는 그러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그는 “북한이 서해 바다인 압록강 하류를 통해 밀수로 비료를 반입했을 가능성도 있지만, 비료는 민생 관련 물자라 유엔대북제재 항목이 아니기 때문에 굳이 밀수로 들여갈 필요까지는 없다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북한 농업부문에 종사했던 탈북민들에 따르면 북한 토지의 산성화 수준이 매우 심각하기 때문에 비료가 투입되지 않으면 알곡 소출을 기대할 수 없습니다.

때문에 “비료가 없으면 농사가 불가능하다”는 말이 북한 농민들 속에서 공공연히 나오고 있다는 겁니다.

북한은 농사에 필요한 화학비료 가운데 일부는 중국에 의존하고, 나머지는 흥남비료연합기업소와 남흥화학연합기업소, 순천인비료 공장 등에서 생산되는 국산품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원료와 전기 부족으로 생산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카리비료 생산을 국산화하기 위해 2020년 6월 노동당 중앙위 7기 13차 정치국회의에서 “우리의 원료에 의거한 카리비료공업을 창설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이에 따라 북한은 30년전에 폐기된 사리원카리비료 공장 재건에 나섰으나, 지속되는 코로나-19국경봉쇄와 북한 내부 경제 상황이 악화된 탓에 지지부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2020년 김정은 위원장이 준공 테이프를 끊은 순천린비료공장도 아직 제대로 가동되지 못하고 있다고 현지 소식통들이 전해왔습니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이 교착상태에 빠지고, 국제 원자재 가격과 원유 가격이 치솟는 등 악재가 겹쳐 경제 전문가들은 올해 세계 경제 전망을 어둡게 예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때 북한은 ‘화성-17형’ 신형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 실패에 이어 재차 발사를 단행하는 등 도발을 이어가고 있어 더욱더 고립을 자초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국제 환율 시세입니다.

3월 30일 미국 외환시장에서 달러와 중국 위안화의 환율은 1대 6.34입니다. 달러대 유로화는 1대 0.89, 달러대 일본엔화는 1대122.3엔입니다. 현재 달러대 한국 돈의 가치는 1대1,211원이고, 한국 돈과 중국 돈의 환율은100만원당5천240위안입니다.

다음은 금 시세입니다. 3월 30일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순금 1트로이 온수(troy ounce)당 가격은, 즉 31.1그램은1,934달러,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는 1,933달러입니다.

한편 3월 30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1배럴(158.9리터)당 107.8달러, 중동산 두바이유는 108달러,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북해산 브렌트유는 1배럴당 111.4달러입니다. 우크라이나 전쟁 등 악재의 영향으로 최근 원유가격이 크게 올랐습니다.

기자 정영, 에디터 이진서,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