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전력선 도난과 해외 구리시세

압록강 하구지역인 중국 단둥(丹東)시 전싱(振興)구 안민(安民)진 부근에 세워진 중국측 송전탑. 전력선이 압록강대로 위를 지나 오른편에 위치한 북한의 황금평 지역으로 연결된 모습.
압록강 하구지역인 중국 단둥(丹東)시 전싱(振興)구 안민(安民)진 부근에 세워진 중국측 송전탑. 전력선이 압록강대로 위를 지나 오른편에 위치한 북한의 황금평 지역으로 연결된 모습. (연합뉴스 제공)

0:00 / 0:00

앵커: 최근 북한 물가와 해외 시세를 알아보는 'RFA 주간 프로그램-쉽게 풀어보는 북한 물가' 시간입니다. 오늘은 북한에서 송배전선, 통신선 절단행위가 나타나는 배경과 최근 해외시장에서의 구리 시세를 전해드립니다. 보도에 정영기자입니다.

북한이 최근 우심하게 나타나고 있는 송배전선, 통신선 절단을 막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최근 북한 당국이 주민들에게 포치한 정치사업해설자료인 ‘송배전선과 통신선을 자르는 현상과 강한 투쟁을 벌이자’에 따르면 국가송배전선망인 3,300v고압전선과 그 이상의 고압전선을 절단하는 행위가 우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수년전에는 양강도 혜산시와 삼수군을 연결하는 6만볼트 고압송전선 수백 미터 구간을 누군가 잘라내어 북한 최대의 구리 생산기지로 알려진 혜산청년광산에 대한 전력 공급이 중단된 바 있다고 북한 소식통이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한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1990년대 중반부터 북한에서 발생했던 송배전선 절단행위가 여전히 근절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1990년대 중반 화력발전소의 가동률이 떨어지고, 수력발전기의 노후화가 심각해지면서 북한에서는 전기생산이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북한은 1980년에 발표한 10대 전망목표에서 전력 1천억㎾h목표를 걸었지만, 목표달성에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한국전기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3년 북한의 발전량은 한국의 발전량에 비해 4% 수준인, 221억kwh로 나타났습니다.

전기생산이 줄어들자, 북한은 당과 군대, 군수공장 등 특수기관에만 전기를 공급하고, 나머지 도시와 공장기업소에는 전기공급을 대폭 제한하거나, 아예 중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국가전력망에서 분리된 전기선에는 전기가 흐르지 않은채로 방치되었습니다.

한편, 1990년대 식량난이 닥치자, 배고픈 주민들은 구리로 된 전기선과 통신선을 절단하기 시작했습니다. 절단한 전선을 협동농장에 넘겨주고 식량과 바꿔먹거나 중국으로 밀수했습니다.

중국 밀수업자들은 북중 국경지방인 신의주와 혜산 등을 통해 구리를 대량 밀수입했습니다. 1990년대 중반 북한 주민들은 구리 1kg에 중국산 담배 한 보루와 맞바꾸었습니다. 당시 중국 담배 한보루는 중국 돈 50위안에 거래되던 시기였습니다.

중국 단동에서 북중 밀수업에 종사했던 한 중국인은 “조선에서 건너오는 구리는 대부분 전선을 절단한 것이었다”고 털어놓은 바 있습니다.

중국사람들이 구리를 사들인다는 정보가 북한 전역에 퍼지면서 생계가 어려운 주민들은 목숨을 걸고 전선과 통신선을 절단하기 시작했습니다. ‘고난의 행군’ 시기 구리밀수를 목적으로 변압기와 전동기, 전력선을 절단하는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자, 북한 인민보안성은 ‘국가전력설비들과 전기선을 절단해 훔쳐가는 자들을 공개처형에 처한다’는 포고문을 발표하고, 실제로 많은 주민들을 처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면 현재 국제시장에서 구리의 시세는 얼마나 될가요?

현재 외국에서는 손전화와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구리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습니다.

금속을 거래하는 대표적인 국제시장인 런던 금속거래소에 따르면 7월 3일 현재 구리 1톤은 미화 6천584달러입니다. 구리값이 가장 높았던 때는 6월 8일에는 7천200달러까지 올랐었습니다.

구리값이 오르자, 중국 밀수업자들은 계속하여 북한에 구리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집니다.

북한에서 통신선을 취급하는 ‘921호’ 통신관리국에서는 빛섬유 통신 케이블, 고주파통신 케이블 도난사고를 막기 위해 각곳에 감시카메라를 설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 탈북자는 “아직 북한에 전기사정이 좋지 않기 때문에 전력선을 절단하는 사람들이 줄어들지 않을 것”이라며 “통신선, 송배전선 절단행위가 근절되자면 먹는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다음은 국제환율 시세입니다.

7월6일 미국 외환시장에서 달러와 중국 위안화의 환율은 1대 6.64입니다. 달러대 유로화는 1대 0.85, 달러대 일본 엔화는 1대110.5엔이었습니다. 현재 달러대 한국돈의 가치는 1대1,115원이고, 한국돈과 중국돈의 환율은 100만원당5,955위안이었습니다.

다음은 금시세입니다. 7월6일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순금 1온수당 가격은, 즉 28.3그램은 1,257달러,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는 1,257달러입니다. 최근 내림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편 7월6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1배럴(158.9리터)당 72.94달러, 중동산 두바이유는 74.53달러,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북해산 브렌트유는 1배럴당 77.39달러였습니다.

<쉽게 풀어보는 북한 물가>, 오늘은 북한에서 송배전선, 통신선 절단행위가 나타나는 배경과 최근 해외시장에서의 구리 시세를 전해드렸습니다. 보도에, RFA 자유아시아방송 정영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