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북한 물가와 해외 시세를 알아보는 ‘RFA 주간 프로그램-북한 물가’ 시간에 정영입니다. 이 시간에는 북한의 시장 활동과 대외 무역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물가 정보와 주요 환율 시세를 전해드립니다.
세계 경제 1위를 차지하는 미국에서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이 정점을 찍고 둔화되고 있다는 신호가 나오자 세계 경기가 낙관적인 자세로 바뀌고 있습니다.
10일 발표된 미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8.5% 상승했습니다. 이는 지난 6월(9.1%)보다는 낮았습니다. 11일 발표된 미국의 7월 생산자 물가 지수도 전년 대비 9.8% 상승했지만, 이는지난 6월에 비해 0.5% 하락한 것입니다. 이처럼 물가평가 지표들이 하락하자, 미 증권시장에서는 “물가상승이 정점을 찍었다”는 안도의 숨이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로 기름값이 소폭 하락하면서 물가 하락 신호가 감지되었습니다. 8월 12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9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 가격은 94.34달러로 마감했습니다. 이는 지난 6월 8일 최고점을 찍었던 122달러에 비해 30% 떨어진 가격입니다.
미국 수도 워싱턴 디씨 일대의 주유소에서는 현재 휘발유 1갤런(3.7리터)은 3.99달러 하는 곳도 생겼습니다. 지난 6월에는 갤런당 5달러까지 올랐던 휘발유 값이 떨어지면서 사람들은 앞으로 물가가 내릴 거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평가 지표가 양호하게 나오자 미국 뉴욕증권시장에서는 10일 주가가 폭등했습니다. 투자자들은 인플레이션이 피크 아웃, 즉 정점을 찍었다고 환호하는 분위기였습니다.
하지만, 경기침체의 우려는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물가가 여전히 높기 때문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계속 인상할 것이란 전망이 더 우세해졌습니다. 미국 물가를 잡기 위해 미국 중앙은행이 발행 화폐를 줄이고, 금리를 올리면 소비가 줄어들고 기업실적이 악화되어 경기 침체를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가 공존하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유가는 좀 내렸지만 다른 식료품 가격은 여전히 높아 실제로 물가가 잡혔다고 보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미국 뉴스전문 방송인 CNN에 따르면 미국의 식료품 소비자물가지수는 43년만에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예를 들어 달걀 값은38% 올랐고, 밀가루는 22%, 우유 15%, 과일·채소는 9% 가량 상승했습니다. 육류에있어서는 닭고기 가격이 크게 올랐습니다.
비록 국제유가 등 에너지 가격은 떨어졌지만, 일반 시민들이 소비하는 식료품 가격은 여전히 높기 때문에 전반적인 물가가 잡히려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종료되고, 공급망 혼란 등 근본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한편, 중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2.7% 상승하면서 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경제전문가들은 이는 중국의 물가상승이 여전히 진행중이라는 신호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그러면 북한의 상황은 어떨까요?
그동안 코로나 확산방지를 위해 국경 완전 봉쇄를 고수하던 북한이 최근에는 북중열차운행재개와 트럭 운송 재개에 발빠르게 움직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대북소식통에 따르면 현재 중국 단둥시 세관은 중국 내 운송 회사에 대북 화물 운송 차량을 등록할 것을 공지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 열차운행재개과 트럭운송 재개는 북한측 요청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알려져 주목됩니다.
북한과 중국 사정에 밝은 한 대북소식통은 “최근 북한이 코로나바이러스가 완전히 사라졌다고 공식적으로 선포하는 것도 중국과의 교역을 위한 선제 신호로 보인다”면서 “백신접종을 하나도 시키지 못한 북한이 코로나 종식을 선포하는 것도 쉽게 납득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 11일 전국비상방역총화회의를 주재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가 완전히 해소됐다고 선언했다고 북한 매체가 보도했습니다.
유엔대북제재로 막힌데다, 중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을 실시하면서 오히려 북한과의 교역을 거부하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이 코로나 종식을 선포한 것은 북중교역 재개를 위한 신호로 해석된다는 것입니다.
북한은 최근 장마로 큰 피해를 입은데다, 식량생산도 차질이 빚어져 중국과의 교역이 절실해졌다는 설명입니다.
북한은 전체 교역의 90%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중국 해관총서(세관) 자료에 따르면 북중간 교역액은 지난 4월 1억230만달러였으나, 열차 운행이 중단되면서 5월과 6월에는 각각80%가량 급감했습니다
다음은 국제 환율 및 주요 물가 시세입니다.
8월12일 미국 외환시장(https://www.x-rates.com)에서 달러와 중국 위안화의 환율은 1대 6.74입니다. 달러대 유로화는 1대 0.97, 달러대 일본 엔화는 1대133엔입니다. 현재 달러대 한국 돈의 가치는 1대1,303원이고, 한국 돈과 중국 돈의 환율은 100만원당5천 172위안입니다.
다음은 금 시세입니다. 8월 12일 뉴욕상품거래소에서 순금 1트로이 온수(troy ounce)당 가격은, 즉 31.1그램은1,807달러입니다.
한편 8월 12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1배럴(158.9리터)당 94달러, 중동산 두바이유는 98달러,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북해산 브렌트유는 1배럴당 98달러입니다.
기사작성 정영, 에디터 이진서,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