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북한 물가와 해외 시세를 알아보는 ‘RFA 주간 프로그램-북한 물가’ 시간에 정영입니다. 이 시간에는 북한의 시장 활동 그리고 대외 무역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물가 정보와 주요 환율 시세를 전해드립니다.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얼마전 중국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가 폐막된 다음 미국과 홍콩, 중국 본토의 증시가 폭락했습니다. 미국 뉴욕증시에 상장된 알리바바(Alibaba)와 텐센트(Tencent) 등 중국기업 주식 가격이 시진핑 국가주석의 세번째 연임이 확정된 다음 날인 24일 각각 20%, 16% 폭락했습니다. 이날 홍콩 증권시장에 상장된 중국의 빅테크기업(대형 정보기술기업) 바이두와 메이투안의 주가도 10% 이상 빠졌습니다. 중국 본토 증권시장인 상하이 종합지수도 2% 이상 떨어졌습니다.
그뿐만 아닙니다. 중국 위안화 가치도 하락했습니다. 24일 미국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위안화 가치는 7.264위안으로 2010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국 월스트리트 저널은 24일 하루 동안 중국의 대표적인 5개 기업의 시가총액 520억 달러가 증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에 따라 중국 최대 부자들의 재산도 증발했는데요.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날 하루 중국 억만장자들의 재산은 한순간에 350억달러 이상 감소했습니다. 중국 대기업들은 미국과 홍콩 등 증권시장에 다수 상장되어 있는데, 이 같이 주식 가격이 폭락하면 기업의 가치도 떨어지게 됩니다.
중국 기업들의 주가가 일제히 폭락한 것은 시진핑(습근평) 중국 국가 주석의 장기집권 토대가 확정됐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합니다. 시진핑 주석은 공산당 총서기에 재선되었고, 6명의 정치국 상무위원들을 모두 자신의 측근들로 채웠습니다. 미국의 한 경제전문가는 텔레비전 방송 CNBC에 출연해 시진핑 주석이 자신의 측근들로 핵심 지도부를 구성하면서 경제정책 실수에 도전할 사람이 아무도 없게 되었다고 말했습니다. 즉 시진핑 주석에게 이견을 제기할 사람이 없기 때문에 앞으로 시 주석이 원하는 대로 정책을 밀어 붙일 수 있게 됐다는 겁니다. 또 다른 전문가는 시주석에게 권력이 너무 많이 집중된 나머지 반시장 정책이 쏟아질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현재 시 주석은 ‘제로 코로나 정책’ 즉 코로나 확진자가 한사람이라도 나타나면 도시 전체를 봉쇄하는 정책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또한 ‘공동부유’, 즉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이 공평하게 사는 사회건설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이 지속되면 경기둔화가 계속되고 경제성장률은 떨어지며 중국에서 생산되는 원자재 그리고 가공품 순환이 차질을 빚기 때문에 세계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경제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때문에 외국 투자자들은 중국 기업 주식을 팔고 있다는 겁니다.
시 주석 집권이 확정되자 중국자본의 해외 유출 현상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25일 최근 몇 년간 중국 알리바바의 창업자 등이 중국 당국의 탄압을 받은 전례가 있기 때문에 중국 부자들은 회사 이전은 물론 보유재산 전체를 외국으로 옮기기를 원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중국 기업들의 주식이 폭락하자 일부 투자자들은 투자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대부분 투자자들은 시 주석의 정책변화가 없으면 위험한 투자가 될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러면 중국의 증시 폭락이 북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일까요?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18년 북한의 대외무역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90%이상입니다.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올해 9월 북중간 교역액은7천2백만달러였습니다. 북한은 코로나로 인해 중단했던 열차운행이 다시 재개되면서 중국과의 교역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경제 성장은 북한에도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중국은 개혁·개방 이래 근 30년 동안 10%에 달하는 고속 성장을 유지해왔으나, 시진핑 집권 이후 하강 국면에 들어섰습니다. 중국은 올해 3분기 경제성장률을 3.9%라고 발표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시진핑 주석이 ‘제로코로나’ 정책을 유지하고, ‘공동부유’정책과 미국의 첨단기술 제재가 계속되는 상황에서는 이전과 같은 경제 성장률을 다시 보기는 힘들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국제 환율 및 주요 물가 시세입니다.
10월27일 미국 외환시장( https://www.x-rates.com)에서 달러와 중국 위안화의 환율은 1대 7.22입니다. 달러대 유로화는 1대 1, 달러대 일본 엔화는 1대146.2엔입니다. 현재 달러대 한국 돈의 가치는 1대1,419원이고, 한국 돈과 중국 돈의 환율은 100만원당5,092위안입니다.
다음은 금 시세입니다. 10월27일 뉴욕 상품거래소에서 순금 1트로이 온수(troy ounce)당 가격은, 즉 31.1그램은1,669달러입니다. 한편 10월27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1배럴(158.9리터)당 87.9달러, 중동산 두바이유는 91달러,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북해산 브렌트유는 1배럴당 94.8달러입니다.
기사작성: 정영, 에디터 이진서,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