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최근 북한 물가와 해외 시세를 알아보는 ‘RFA 주간 프로그램-북한 물가’ 시간에 정영입니다. 이 시간에는 북한의 시장 활동 그리고 대외 무역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물가 정보와 주요 환율 시세를 전해드립니다.
북한에서 ‘석탄은 공업의 식량’ ‘쌀은 공산주의’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그만큼 석탄과 쌀이 인간생활에서 중요하다는 말이 되겠습니다. 외부 사회에도 이와 비슷한 말들이 있는데요. 요즘 경제 분야에서 가장 많이 쓰는 말이 ‘반도체는 21세기 산업의 쌀’이라는 겁니다.
현재 전세계 국가들이 21세기 먹거리를 만드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반도체는 산업의 쌀에 비유되고 있습니다. 그만큼 안 쓰이는 곳이 없다는 것이죠. 우선 주요 경제발전국가들인 미국과 중국, 유럽연합, 한국, 일본, 대만 등은 정부가 나서서 반도체 산업 기반을 확보하고 자국의 이익을 보호하는 정책들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미국은 반도체 산업 육성에 가장 공격적인 나라 중 하나로 알려졌습니다. 미국은 엔비디아, 인텔, 퀄컴 등 여러 반도체 공장들을 가지고 있는 강국인데요. 실례로 엔비디아는 자율주행 자동차와 게임기에 들어가는 속도가 빠른 반도체인 GPU를 생산하는 회사인데 세계적으로 시가총액면에서 10번째로 큰 회사입니다. 미국 정부는 자국 내 반도체 생산설비를 확대하기 위해 최근 1000억 달러를 지출할 계획입니다. 또한 해외에 있는 반도체 공장들을 미국내에 짓도록 엄청난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때문에 남한의 삼성전자, 대만의TSMC 등 주요 반도체 기업들이 미국 내에 생산설비를 증설하는 계획을 잇따라 발표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이러한 정책은 중국의 반도체 굴기, 즉 “반도체 산업을 우뚝 일쿼세운다”는 야망에 맞서기 위한 움직임으로 경제계는 평가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2030년까지 세계 반도체 패권을 제패하겠다는 내용의 ‘중국 제조 2025’를 발표했는데, 이에 따르면10%에도 미치지 못했던 반도체 자급률을 2020년까지 40%, 2025년까지 70%, 2030년에는 중국 반도체산업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도약시킨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중국의 발표는 미국의 반발을 불렀습니다. 세계 패권에 도전하는 중국이 반도체를 제패할 경우 패권국의 지위가 흔들리기 때문에 미국은 수천억 달러에 달하는 중국산 수입품목에 폭탄관세를 부과하는 ‘무역전쟁’으로 맞섰습니다. 또한 중국의 대표적인 반도체 기업인 화웨이 등에 대한 제재를 가해 중국의 ‘반도체 굴기’는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반도체는 자동차와 세탁기 등 일상에서 쓰이는 물건부터 시작하여 위성이나 미사일과 같은 군사용 무기에도 들어가는 필수 재료이기 때문에 이른바 ‘21세기 4차 산업의 쌀’에 비유되는 것입니다.
한편 일본과 대만 역시 반도체 강국입니다. 북한 청취자 분들은 1980년대 북한 전역에 널리 퍼졌던 히다치, 소니, 도시바 등 일본제 텔레비전과 녹음기 등을 기억하실겁니다. 당시 일본의 전자기업들은 반도체 분야에서 손꼽히는 회사들이었지만, 그 후 1등 자리를 삼성 등 다른 기업들에 내어주었습니다. 그래도 여전히 과거의 영광을 되찾으려는 일본 기업들의 보이지 않는 경쟁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대만 역시 반도체 강국으로 꼽히는데요. 그 가운데는 세계 파운드리 생산의 1위를 달리는 TSMC라는 반도체 기업이 있습니다. 반도체 파운드리란 반도체의 주요 부품인 금속 제품을 주조하는 공정을 말하는 데, 대만의 TSMC는 2021년 9월 기준으로 전세계 시가총액 6천억 달러에 달하는 8번째로 큰 회사로 거듭났습니다. 사실상 대만의 TSMC 덕분에 국제고아 취급을 받던 대만의 위상이 올라가고 중국도 대만 통일을 호시탐탐 노린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남한도 반도체 강국 중 하나인데요. 그 가운데는 삼성전자가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2021년 3월 기준으로 시가총액이 4천억 달러에 달해 세계에서13번째로 큰 회사로 이름을 올렸습니다. 북한에도 반도체를 생산하는 공장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평양집적회로공장, 평성반도체공장, 조선반도체공장 등이 있는데요. 생산제품은 반도체 2극소자 등 초보 형태의 반도체 소자를 만드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앞서 언급한 미국의 엔비디아, 한국의 삼성전자, 대만의 TSMC 에서 생산하는 반도체들은 인공지능과 자율주행 자동차, 로봇과 같은 첨단산업에 필요한 초정밀 제품들인데, 북한에서 생산된 반도체 소자들은 이런 제품들과는 거리가 먼 제품이라고 합니다.
다음은 국제 환율 및 주요 물가 시세입니다.
2월 16일 미국 외환시장(https://www.x-rates.com)에서 달러와 중국 위안화의 환율은 1대 6.86입니다. 달러대 유로화는 1대 0.93달러대 일본 엔화는 1대133엔입니다. 현재 달러대 한국 돈의 가치는 1대1,288원입니다.
다음은 금 시세입니다. 2월 16일 뉴욕 상품거래소에서 순금 1트로이 온수(troy ounce)당 가격은, 즉 31.1그램은1,845달러입니다. 한편 2월 16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1배럴(158.9리터)당 78.5달러, 중동산 두바이유는 83달러,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북해산 브렌트유는 1배럴당 85달러입니다.
기사작성: 정영, 에디터 이진서,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