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물가] 고물가 고금리 시대와 북한

0:00 / 0:00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최근 북한 물가와 해외 시세를 알아보는 ‘RFA 주간 프로그램-북한 물가’ 시간에 정영입니다. 이 시간에는 북한의 시장 활동 그리고 대외 무역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물가 정보와 주요 환율 시세를 전해드립니다.

최근 높이 오른 물가를 끌어 내리기 위해 미국이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좀처럼 내리지 않고 있습니다. 미국 고용노동부가 한달에 한번씩 발표하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따르면 1월 물가는 지난해 같은 시기에 비해 6.4% 올랐습니다.

지난해 6월에 비해 많이 내렸지만, 여전히 미국중앙은행이 목표로 하는 2%대까지 가자면 갈 길이 멉니다. 미국 투자 전문가들 속에서는 “물가 상승이 처음 판단보다 질기다는 것을 알아채는데 시간이 오래 걸렸다”며 높은 금리를 한동안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6월 전년 동기 대비 9.1% 올라 40년만에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소고기 등 일부 식료품 가격은 20% 넘게 올라 미국 소비자들은 정부의 발표를 의심하기도 했습니다. 미국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한번에 0.75%씩 네번 연거푸 강하게 올려 현재 4.5%대에 이르렀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1년 동안 올렸는데도 물가가 내리지 않자, 일부 투자자들은 “아직도 물가를 잡지 못했나?”며 불만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원인이 무엇일까요?

문제는 소비가 아직도 강하다는 점입니다. 물가는 소비와 공급의 원리에 따라 결정되는데 소비가 많으면 물가는 높게 유지된다는 겁니다. 다시 말해 미국 사람들의 주머니가 아직 얇지 않다는 겁니다. 코로나기간 해외 여행과 여가 활동이 제한되면서 미국 사람들의 소비는 억제되었습니다. 또 정부가 코로나 기간 경기 부양을 위해 막대한 양의 돈을 풀면서 어딘가 그 돈이 숨어있다는 겁니다.

다음으로 노동시장이 가열되어 사람들의 소득이 줄어들지 않는다는 겁니다. 미국 노동부는올해 1월 농업부분을 뺀 일자리 수가 51만7000개 급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시장의 예상치보다 3배나 더 많은 것으로 됩니다.

현재 미국의 대표적인 기술 기업들은 직원수를 크게 줄이고 있는데 중소기업들은 일할 사람을 찾지 못해 발을 구르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패스트 푸드, 즉 즉석 음식점인 맥도날드와 커피점 스타벅스 등에 가면 “사람을 구합니다”라는 표지판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기업들은 일할 사람을 찾기 위해 시간당 임금을 올리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워싱턴 디씨에서 일하는 중남미 과테말라에서 온 한 청년은 시간당 17달러를 받고 있습니다. 이는 코로나 이전보다 4달러나 더 많은 겁니다. 월스트리트 저널(WSJ)은 “중소기업들은 여전히 시간제 근로자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으면서 추가 비용을 지불하고 이주 노동자들을 고용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처럼 기업이 근로자 임금을 올리면 물가도 덩달아 오르게 됩니다. 이렇게 되자, 미국중앙은행은 기준 금리를 또 올릴 예정입니다. 미국 애틀랜타 연방은행 총재는 미국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를 5~5.25%로 올리고 2024년까지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증권시장에서는 물가를 잡기 위해 일자리를 더 줄여야 한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이는 실업자를 더 만들어야 한다는 말로, 실업자를 줄이려는 정부정책에 대한 역발상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한편, 북한도 고물가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북한 소식을 외부에 전하는 아시아프레스가 공지한 북한 쌀값동향에 따르면 올해 1월 1kg당 5천400원이던 쌀 값은 2월에는 6천300원으로 한달 사이에 15%나 올랐습니다. 올해 2월 휘발유와 디젤유 1kg당 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각각 30%, 60% 이상 올랐고, 북한 돈과 중국 위안화와 달러의 환율도 46%, 25% 이상 올랐다고 아시아프레스는 전했습니다.

탈북민들에 따르면 북한의 고물가 현상은 내부의 수요와 공급의 영향을 받고, 북한 전문가들에 따르면 환율 변화는 북중무역 재개에 따른 외화수요 증가와 외부 환율변동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음은 국제 환율 및 주요 물가 시세입니다.

3월 3일 미국 외환시장(https://www.x-rates.com)에서 달러와 중국 위안화의 환율은 1대 6.9입니다. 달러대 유로화는 1대 0.94, 달러대 일본 엔화는 1대136엔입니다. 현재 달러대 한국 돈의 가치는 1대1,302원입니다.

다음은 금 시세입니다. 3월 3일 뉴욕상품거래소에서 순금 1트로이 온수(troy ounce)당 가격은, 즉 31.1그램은1,840달러입니다. 한편 3월 3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1배럴(158.9리터)당 78달러, 중동산 두바이유는 83달러,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북해산 브렌트유는 1배럴당 83.2달러입니다.

기사작성: 정영, 에디터 이진서,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