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란코프] 북, 중국의 지원을 선택하나

0:00 / 0:00

지금 북한에서는 유열병 즉 신형코로나비루스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결국 북한 당국자들의 코로나 대처 전략, 극단적인 방역 조치를 중심으로 하는 전략은 실패로 끝났습니다. 객관적으로 말하면, 북한 당국자들의 전략을 실패로 단정 지을 수는 없습니다. 북한의 상황을 감안하면 어느 정도 불가피한 성격이 있었고, 또 성공할 가능성도 없지 않았습니다.

이제 북한 당국자들은 더욱 어려운 결정을 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됐습니다. 코로나 비루스에 대한 왁찐(백신) 접종이 필요한데 북한은 어느 쪽의 지원을 받을까요?

북한 일반 주민들은 이 사실을 모르지만, 지난 1년 동안 남한, 중국, 러시아, 국제기구들은 북한에 공짜로 예방접종 약품을 지원하겠다는 제안을 해왔습니다. 그러나 북한 측은 얼마 전까지 외부의 제안을 모두 거절했습니다. 당시 북한은 해외에서 왁찐 약을 지원받는다면 약품뿐이 아니라 의사와 간호사가 들어와야 하기 때문에 북한 국내로 코로나가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이 문제를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북한은 남한, 중국 그리고 국제보건기관인 코벡스 등 어디에서 예방접종약을 지원받을 것인지 선택해야 할 시점입니다. 문제는 세 개의 후보들 각기 약점도, 장점도 있습니다.

중국은 신속하게 지원을 할 수 있으며, 특히 조용하게 북한에 왁찐(백신)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중국 의사와 간호사들은 사상적으로 그리 위험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문제도 있습니다. 중국의 예방접종약은 품질이 그리 좋지 않습니다. 효과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중국 예방접종약은 다른 예방접종약에 비해 수준이 낮습니다. 특히 북한에서 확산하고 있는, 원인을 알 수 없는 열병으로 알려진 코로나 변종, 오미크론에 대한 중국 예방접종약의 효과는 낮습니다.

남한은 미국과 유럽에서 개발한 좋은 예방접종약을 북한에 공짜로 지원할 수 있습니다. 북한 관영언론이 코로나 확산에 대해 보도한 직후, 남한 정부는 대북 예방접종 지원이 가능하다고 여러 차례 밝혔습니다. 그러나 남한의 지원은 중요한 조건이 있는데요. 북한 측이 먼저 지원을 요청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즉 북한 당국은 며칠 전까지 미친듯이 비난했던 남한 정부에 구조 요청을 해야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북한 측이 수용하기 어려운 조건입니다.

또 예방접종지원을 받는 것은 그냥 약품을 받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의사, 기술자, 간호사들이 북한에 들어와야 합니다. 그러나 북한 당국자들은 남한의 의사, 기술자, 간호사들이 북한 곳곳에 도착하는 것을 조금도 원하지 않습니다.

물론 북한 측은 남한 의사와 북한 사람의 접촉을 통제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남한 의사들의 옷차림, 행동, 그들이 가져온 치료 기구는 인민들에게 남한이 얼마나 잘 사는지 쉽게 알려줄 수 있습니다.

국제기구는 어떨까요? 역시 문제점이 있습니다. 물론 국제기구 의사들은 남한 의사들만큼 사상적으로 위험하지 않습니다. 뿐만 아니라 국제기구는 좋은 예방접종약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속도인데요. 국제기구는 속도가 느립니다. 중국이나 한국보다 국제기구의 지원은 보름 정도 늦어질 수 있습니다.

우리는 북한 당국자들이 어떤 선택을 할지 확실히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그들의 논리를 보면 품질이 그리 좋지 않지만, 정치적으로 안전한 중국의 지원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 이 칼럼내용은 저희 자유아시아방송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ANDREI LANKOV,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