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란코프] 586세대, 인식의 변화

0:00 / 0:00

오늘날 한국 신문과 언론을 보면 ‘586세대’라는 단어가 많이 나옵니다. ‘586세대’는 원래 ‘386’으로 불렸고 나중엔 ‘486’으로 불린 세대입니다. 그들은 누구일까요?

586은 1960년대 태어나, 1980년대 대학을 다닌 사람들입니다. 지금 그들 대부분은 50대입니다. 바로 이 때문에 586이라고 불립니다. 1990년대 그들이 아직 30대였을 때에는 386이라고 불렸습니다.

586 세대는 정치성이 매우 높은 세대인데요. 586의 행동, 사상, 의식의 진화는 꽤 흥미롭습니다. 그들의 지난 40년을 돌이켜 보면 현대 남한 역사를 어느 정도 알 수 있습니다.

586세대 사람들은 1980년대 대학에 입학했습니다. 당시에 남한 대학은 좌익 사상의 뿌리가 깊었습니다. 북한 인민들은 ‘남한 청년 학생’하면 어떤 모습이 먼저 떠오를까요? 경찰과 싸우고, 반정부 지하출판물을 만들고, 시위를 나가는 모습이 아닐까요? 그러나 이 모습은 오늘날의 남한 청년 학생들과는 아무 관련이 없습니다.

한국 대학에서 이러한 분위기가 있었던 시대는 1970년대 말부터 1990년대 초까지입니다. 바로 586들은 이런 시기에 대학 시절을 보냈습니다. 그들은 공산주의 사상, 민족주의 사상을 배웠고 반미, 반일 감정도 컸습니다. 소위 운동권 학생들은 사회주의가 자본주의보다 우월하다고 생각했을 뿐만 아니라 북한을 사회주의 모범이라고 믿었습니다. 그리고 남한을 사회주의 국가로 만들 것을 꿈꿨습니다. 물론 그들의 부모 세대는 자식들의 사상에 반대했습니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지금 586세대의 아들, 딸들도 1980년대 586세대의 사상을 웃기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1990년대 초, 586세대의 사상은 심각한 타격을 받습니다. 핵심 이유는 소련을 비롯한 동구권의 붕괴, 다른 하나는 북한의 경제난입니다. 1990년대 초반, 한국 청년들은 무엇을 봤을까요? 그들은 소련에서, 다른 사회주의 나라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거리로 나와 공산당과 국가사회주의 체제를 규탄하는 모습을 목격했습니다.

이것은 혁명이었지만 586세대가 희망하던 혁명은 아니었습니다. 586 세대는 사회주의 국가들에서 정작 사회주의를 지지하는 사람이 없다는 사실을 자신들의 눈으로 확인한 것입니다.

또 다른 타격은, 북한의 진실을 목격하게 된 것입니다. 586세대는 북한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남한 자료를 믿지 않습니다. 그들은 이 자료들을 남한의 독재정권이 만든 거짓말이라고 믿었습니다. 1990년대 초부터 남한 사람들이 중국을 방문할 수 있었고 곧 중국 동북3성에 탈북자가 급증하기 시작했습니다. 탈북자들과 만난 젊은 남한 사람들은 심한 타격을 받았습니다. 탈북자들에 따르면 북한은 ‘사회주의 지상 락원’이 아니라 매우 낙후되고 빈곤한 나라였습니다.

결국 1990년대 말에 들어와서는 586세대 가운데 여전히 북한식 사회주의, 소련식 사회주의를 믿는 사람이 거의 사라졌습니다. 물론 자본주의에 대해서 약간 부정적인 태도는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고치는 방법이 혁명이 아니라 정치 개혁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586세대의 목적은 사회민주주의 체제를 만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들 가운데 사회주의 혁명에 대한 열망은 사라졌습니다.

** 이 칼럼내용은 저희 자유아시아방송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ANDREI LANKOV,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