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6일, 미국의 전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2024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북한에서 김씨 일가는 대를 이어서 지도자가 되는 나라이므로, 수십 년 후에 김정은을 대체할 사람이 누구인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바로 김정은의 아들이겠죠.
그러나 자유민주주의 국가 미국의 최고지도자 대통령은 당연히 국민들의 선거로 결정됩니다.
오늘날 미국 정치 상황으로 2024년 선거 결과를 예측하긴 어렵습니다. 야당인 공화당도, 여당인 민주당도 지지자들의 숫자는 거의 비슷합니다. 뿐만 아니라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 서민에게 인기가 많지만, 그를 반대하는 사람들도 아주 많습니다.
미국 역사를 보면 재선에 실패한 대통령이 다시 선거 출마해서 대통령으로 당선된 사례는 거의 130년 전, 한 번 뿐입니다. 그래도 민주국가에서 이러한 일은 다시 일어날 수 있습니다. 트럼프가 다시 대통령이 된다면 미국과 세계의 정치, 특히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은 어떻게 될까요?
트럼프와 그 지지자들의 대외정책 세계관은 고립주의입니다. 즉 그들은 미국이 다른 나라와 무역을 비롯한 경제 관계를 맺을 수 있지만, 군사동맹이나 적극적인 외교를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트럼프는 벌써 수십 년 전부터 미국이 동맹을 맺고 해외에 군대를 주둔시키는 것이 큰 돈 낭비라고 주장해 왔습니다. 따라서 트럼프는 가능한 한 빨리 주한미군을 축소할 계획이었다고 합니다. 물론 조건이 하나 있었습니다. 북한이 핵 개발을 비롯한 중요한 분야에서 양보할 경우에만 가능한 계획이었습니다.
이 입장에서 보면, 2024년에 트럼프가 다시 대통령이 된다면 그는 북한과 다시 회담장에서 만나려고 할 것입니다. 또 북측이 어떤 양보를 한다면 트럼프는 한반도에서 미국의 역할을 축소할 뿐만 아니라 주한미군도 축소할 수 있다는 태도입니다
또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중요한 특징이 있습니다. 북한 사람들의 믿음과 달리, 미국 정치인들은 북한에 대해 관심이 별로 없습니다. 미국 정치인들에게 북한은 무엇일까요? 멀고 먼 곳에 있는 어렵게 사는 작은 독재국가일 뿐입니다. 그런데 트럼프는 북한에 대해서 큰 관심이 있습니다. 그는 자신이 북핵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야심까지 있습니다. 또 트럼프는 개인적으로 김정은에게 호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트럼프가 대통령이 된다면, 미국과 북한 사이에 회담과 접촉은 많아질 것입니다.
그러나 다른 입장에서 보면 트럼프는 미국 공화당 소속입니다. 공화당은 주로 외국에서 문제가 생기면, 군사력을 비롯해 미국의 힘을 사용하면 좋다는 입장입니다. 2017년 트럼프는 북한을 공격할 수 있다는 주장까지 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또 중국에 대해 매우 비판적인 태도인데요. 그는 중국이 매우 침략적인 나라이며, 미국을 속이고 기술을 훔치는 나라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트럼프는 대통령 재임 중 중국과의 무역 전쟁을 시작했습니다. 트럼프의 중국에 대한 태도는 그의 한반도에 대한 정책에 확실히 영향을 줄 것입니다.
2024년 트럼프가 다시 미국 대통령이 될 가능성은 알 수 없지만, 그리고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이 어떻게 변할지 알 수 없지만 한 가지 확실한 건 지금과는 다를 것이라는 겁니다. 한반도의 시계가 회담이 열렸던 2018년으로 돌아갈 것인지, 긴장이 최고조였던 2017년으로 돌아갈 것인지 짐작하긴 어렵습니다.
** 이 칼럼 내용은 저희 자유아시아방송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Andrei Lakov,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