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북 비핵화-상응조치 신속 추진해야”

0:00 / 0:00

앵커 :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재차 촉구했습니다. 북한의 비핵화 이행에 대한 미국의 상응하는 조치도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울의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과 북한에 싱가포르 정상회담 합의사항을 신속히 이행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15일 열린 광복절 기념식에 참석한 자리에서 이같이 말하며 미북 정상회담은 평화와 번영으로 가겠다는 미북 양측의 의지로 성사됐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한반도 평화와 번영은 (미북) 양 정상이 세계와 나눈 약속입니다.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이행과 이에 상응하는 미국의 포괄적 조치가 신속하게 추진되길 바랍니다.

미북이 싱가포르 합의를 원활하게 이행할 수 있도록 한국 정부차원의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는 점도 분명히 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남북 간 더 깊은 신뢰관계를 구축해 미북 간의 비핵화 대화를 촉진하는 주도적인 노력을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내달 열리는 3차 남북 정상회담에서는 판문점 선언의 이행을 재확인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함께 종전선언, 평화협정으로 가기 위한 발걸음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미국과 동북아시아 6개국에 ‘동아시아철도공동체’도 제안했습니다. 유럽연합처럼 동아시아의 에너지, 경제, 안보공동체를 만들어 가자는 겁니다.

문재인 대통령 : 경의선과 경원선의 출발지였던 용산에서 저는 오늘 동북아 6개국과 미국이 함께하는 '동아시아철도공동체'를 제안합니다. 이는 동북아 다자평화안보체제로 가는 출발점이 될 것입니다.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전제로 한 남북 경제협력 재개의 의지도 내비쳤습니다.

문 대통령은 남북 경제협력으로 인한 경제적 효과가 최소 1500억 달러(170조 원)에 이를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평화가 곧 경제”라고 말했습니다. 현재 중단돼 있는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과거 막대했다는 점도 언급했습니다.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이 완화되면 경기도와 강원도 접경지역에 통일경제특구를 설치할 것이라는 입장도 밝혔습니다.

남북의 철도·도로 연결 사업은 올해 안에 착공식을 갖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남북은 철도·도로 연결 착공식을 구체적인 시점을 밝히지 않고 조속한 시일 내에 개최한다고 합의한 바 있습니다.

문 대통령은 조만간 개소할 남북공동연락사무소로 인해 남북이 24시간, 365일 소통하는 시대가 열릴 것이라며 기대감도 내비쳤습니다. 문 대통령은 “남북공동연락사무소는 남북 상호대표부로 발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남북공동연락사무소는 이르면 이번주 내에 개소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남북 간 군사분야와 관련해서는 판문점 선언에서 합의한 일체의 적대 행위 중단을 위한 조치들이 취해지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의 비무장화, 비무장지대의 시범적 감시초소 철수 등에 대한 남북 합의를 의미 있게 평가하고 향후 남북 공동의 유해발굴 작업도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목용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