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폼페이오 방북 계기 비핵화 구체적 협의 기대”

0:00 / 0:00

앵커 : 한국의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방북을 계기로 미국과 북한이 구체적인 비핵화 협의를 진행하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서울의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부 장관의 방북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습니다.

강 장관은 4일 열린 내신 기자설명회에서 미북이 2차 정상회담 개최를 염두에 두고 보다 구체적인 비핵화 문제를 협의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강 장관은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이 이른 시일 내에 이뤄진 것은 좋은 징조”라며 “그동안 미북 사이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을 위한 사전 접촉이 지속적으로 이뤄졌다”고 말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오는 7일 당일 일정으로 북한을 방문한 뒤 곧바로 한국에 들어와 방북 결과를 설명할 예정입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 : 폼페이오 장관은 방북 직후 서울을 방문해 문재인 대통령을 예방하고 저와 회담을 갖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방북 결과를 상세히 설명하고 향후 추진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할 예정입니다.

강 장관은 폼페이오 장관의 이번 방북을 계기로 미북 간 비핵화 논의의 핵심인 핵목록 신고와 미국의 상응조치 등과 관련된 구체적인 논의가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강 장관은 북한 비핵화의 진전을 이루기 위해 과거와는 다른 접근 방식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제안도 했습니다. 미국이 북한에 대한 핵목록 신고 요구를 미루는 등 북한과의 비핵화 협상에서 융통성을 발휘해야 한다는 겁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 : 미국이 제공할 수 있는 비핵화와 관련된 상응조치를 모두 한꺼번에 포괄적으로 고려하면서 (비핵화) 로드맵을 만들어나가야 합니다. 이런 융통성 부분에 있어서 한국은 물론이고 미국도 이와 같은 생각을 하고 있다고 봅니다.

강 장관은 이같은 비핵화 협상과 관련한 미국의 전향적인 입장 전환 가능성에 대해서는 “우선 미북 사이의 협상을 지켜봐야 한다”며 “비핵화에 대한 상응조치와 관련해 여러 요소를 검토하고 있고 한미 간 풍부하고 융통성 있는 구상을 주고받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현지시간으로 3일 미국의 워싱턴포스트(WP)는 강 장관이 미국 측에 북한에 대한 핵목록 신고 요구를 일단 미뤄 달라는 제안을 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강 장관은 WP와의 인터뷰에서 “처음부터 핵무기 목록을 북한에 요구하면 이후 검증을 놓고 이어질 논쟁에서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질 위험이 있다”며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미북 간 신뢰 구축 차원에서 미국의 전향적인 입장 변화를 제안한 겁니다.

WP에 따르면 강 장관은 지난 2008년 미국의 조지 W 부시 행정부 당시 북한이 플루토늄 관련 시설의 자료를 넘겼던 사례를 언급하며 “당시 북한의 자료를 검증하는 과정이 진행되다 결국 실패한 바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북핵 문제와 미북협상을 담당하는 최선희 외무성 부상이 4일 중국 베이징을 방문했습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방북을 앞둔 시점에서 중국과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됩니다.

일본 교도통신에 따르면 최 부상은 중국에 도착한 뒤 리동일 외무성 국제기구국 부국장과 회동했습니다. 리 부국장은 리용호 외무상을 수행해 유엔총회에 참석한 바 있습니다. 최 부상과 리 부국장은 유엔총회 결과를 공유하고 향후 전략 등을 논의했을 것으로 관측됩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목용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