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미북 정상회담에서 북한이 약속한대로 장거리 미사일 발사나 핵실험을 해선 안된다고 강조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10일 미국 국무부에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회담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최근 북한이 ‘크리스마스 선물’ 등을 운운하며 위협적인 입장을 취한 데 대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비핵화 약속 이행을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
폼페이오 장관 : 김정은 위원장은 개인적으로 비핵화를 약속했습니다. 우리는 김 위원장이 장거리미사일 시험이나 핵실험이 없을 것이라고 한 약속을 지키길 희망합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그러면서 북한과 계속해서 대화를 이어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며 러시아와 함께 북한의 비핵화 약속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찾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북한이 비핵화를 이루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주 언급한 바와 같이 북한에 더 밝은 미래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라브로프 장관과 양국의 공동 목표로서 북한의 최종적이고 완전하며 검증가능한 비핵화, 즉 FFVD에 대해 재확인하는 한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 이행에 대해서도 심도있는 대화를 나눴다고 전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특히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에 따라 해외 근로 북한 노동자의 송환 시한이 오는 22일로 다가온 가운데 러시아 정부의 협조를 당부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 : 유엔 대북제재 결의의 주요 사항으로 22일까지 모든 국가들은 해외 북한인 노동자를 돌려보내야 하는데 러시아에 많은 북한 노동자가 있습니다. 중요한 사안인만큼 이에 대해 라브로프 장관과 논의했습니다. 러시아가 이 결의를 완전히 준수하길 희망합니다.
한편 라브로프 장관은 미북 간 대화를 지지하고 현재 교착 국면을 타개하기 위한 미북협상이 재개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그러나 북한에 당장 한꺼번에 모든 요구사항을 이행하라고 하면서 이후 북한에 체제안전 보장과 제재 완화를 제공하는 접근법으로는 협상이 재개되기 어렵다고 지적했습니다.
라브로프 장관은 현재의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미북 양자 간 ‘상응조치’와 함께 대화를 진행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 대북제재 결의로 대북경제 협력과 인도주의 지원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는 점도 거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