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불법 무기거래 드러난 미얀마와 북한 비난

0:00 / 0:00

앵커 : 핵과 미사일개발을 막기 위한 강력한 대북제재가 이행되고 있는 가운데서도 여전히 북한과의 무기거래가 은밀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비난이 일고 있습니다. 보도에 홍알벗 기자입니다.

호주, 즉 오스트랄리아 정부가 북한은 물론 동남아에 있는 미얀마를 강력히 비난하고 나섰습니다.

호주 일간지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6일, 호주 외교부 대변인이 이날 북한이 미얀마에 각종 무기류를 판매했다는 보고서 내용에 우려를 표명하고 북한의 불법 무기프로그램을 비난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습니다.

하지만, 미얀마와 정기적으로 해오고 있는 군사훈련과 미얀마에 대한 각종 군사지원은 중단하지 않고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대변인은 밝혔습니다.

이 같은 호주 정부의 비난은, 지난 2일 유엔 대북제재위원회 산하 전문가단이 작성한 것으로 알려진 보고서에 북한이 지난 2017년 한 해 동안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해 석탄을 비롯한 금수품목 수출로 2억 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렸으며, 이 가운데 미얀마가 북한으로부터 다중 로켓 발사기와 지대공 미사일, 그리고 탄도미사일 체계를 들여왔다는 내용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군사동맹국인 미얀마가 대북제재를 어기고 북한과 무기거래를 했다는 사실을 접한 호주로서는 미얀마와 북한과의 군사관계가 큰 위협이 될 수 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그 동안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아웅산 수치 현 국가고문은 북한과의 군사적 유대관계를 부정해 왔고, 미얀마 군사정권이 끝난 2011년 이전에 이미 북한과의 무기거래 등도 중단된 상태라고 주장해 호주 측의 충격이 더 컸을 것이란 분석입니다.

북한은 미사일 제작을 돕기 위해 전문가와 부품 등을 10년 전에 미얀마에 처음으로 파견 및 수송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편, 워싱턴 주재 미얀마 대사관은 보고서에 언급된 북한과의 불법 무기거래에 관한 입장을 묻는 자유아시아방송의 문의에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