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조 바이든 대통령이 27일 취임 후 처음으로 일본의 스가 요시히데 총리와 통화를 하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일본인 납북문제 조기 해결에 공감했습니다.
백악관은 이날 성명을 통해 바이든 대통령이 스가 총리와 양국이 함께 직면한 정책 문제와 세계적 도전 과제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양국 정상은 북한과 중국 등 역내 안보 문제를 논의하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의 필요성과 일본인 납치 문제의 조기 해결에 서로 동의했다고 성명은 전했습니다.
(They discussed regional security issues, including China and North Korea. They together affirmed the necessity of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early resolution of the abductions issue.)
한편, 린다 토머스 그린필드(Linda Thomas-Greenfield) 유엔주재 미국대사 지명자가 27일 미국 상원 외교위 인준청문회에 출석해 한국과 일본 등 동맹국들은 물론 중국과 러시아를 통해 북한의 비핵화 의무를 압박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린필드 대사 지명자는 이날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 하에서 증강한 북한의 핵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거론하며 북한의 핵 비확산을 위한 협력 방안을 묻는 에드워드 마키 의원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습니다.
그린필드 대사 지명자는 북한의 비핵화는 미국이 혼자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며 "우리는 반드시 동맹들과 다시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We certainly have to reengage with our allies. Again, this is not something we can do alone.)
그는 그러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가장 큰 실책 중 하나는 혼자서 하려고 한 것이라며 "동맹들은 그 과정에서 뒷전으로 밀려나 있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린필드 지명자는 따라서 한국과 일본 등 동맹국들과 다시 협력하는 것은 물론 중국과 러시아가 대북 제재를 이행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이고 이같은 논의 장소는 뉴욕 유엔본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도 지난 19일 인준 청문회에서 한국과 일본, 다른 나라들과 협의하고 모든 방안을 검토하는 것부터 대북 접근법과 정책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