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링컨 지명, 대북강경압박 의미…북 도발시 ‘전략적 인내’ 회귀”

0:00 / 0:00

앵커: 조 바이든 차기 미국 행정부의 외교안보 주요 지명자로 대북 강경 인사들이 발표돼 향후 한반도 정세에 어떤 영향이 있을 지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지에린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대선에서 승리한 조 바이든 인수위원회는 23일 차기 미국 국무장관으로 토니 블링컨 전 국무부 부장관과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으로 제이크 설리번 전 부통령 국가안보보좌관을 각각 지명했습니다.

이에 대해, 데이비드 맥스웰 민주주의수호재단(FDD) 선임연구원은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블링컨 전 부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접근법에 비판적이었던 인물로 향후 북한에 강경한 입장을 취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맥스웰 선임연구원: 블링컨 전 부장관은 북한에 대해 강경한 모습을 보일 것입니다. 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대북)제재가 이행되고 정권에 대한 압박은 지속돼야 한다는 것이죠.

다만, 그는 블링컨 전 부장관이 북한과의 비핵화 협상에서 단계적 주고받기식 접근법 등 트럼프 행정부와는 다른 접근법을 취할 가능성도 있지만, 북한의 실질적인 비핵화 조치가 결여된 상태에서 제재를 완화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그는 블링컨 전 부장관과 설리번 전 부통령 보좌관 모두 동맹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며, 한국을 포함한 동맹국과의 관계 강화를 위해 힘쓸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해리 카지아니스 미국국익센터(CNI) 한국 담당 선임국장 역시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블링컨 전 부장관과 설리번 전 부통령 보좌관 모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정책을 선호하진 않았던 인물로 이는 당분간 미북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만약 북한이 이들 인사의 취임 초기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나 핵실험 등의 도발을 감행한다면 과거 오바마 행정부의 전략적 인내 정책으로 회귀해 추가적인 제재조치를 내리는 등 북한을 봉쇄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다만 그는 차기 국무장관 및 국가안보보좌관의 정책적 최우선순위는 미국의 코로나19 사태 및 경제회복, 중국 문제 등으로 한반도 문제는 다소 후순위로 밀려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스티븐 노퍼 미국 코리아소사이어티 선임국장 겸 컬럼비아대 교수는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두 지명자 모두 차기 미국 대통령의 측근으로 한반도 문제를 포함한 국제안보 문제에 정통한 인물이라며 한미동맹 측면에서 긍정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평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