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중 국경 일대에 지난 8일부터 비상경계령이 내려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중 양국의 무장군인들이 특별 경계에 나섰는데 미북정상회담에 앞서 북한이 중국측에 국경통제 강화를 요청한 것 이라고 소식통들은 밝혔습니다.
북한 내부 소식 손혜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평안북도의 한 소식통은 9일 “어제(8일)부터 국경경비대와 국가보위성이 합동으로 국경지역 특별경비에 들어갔다”면서 “특별경비 기간은 열흘이며 조미수뇌회담과 관련된 조치이기 때문에 이 기간 누구든 허가 없이 압록강(국경선) 근처에 접근 했다가는 반체제범인으로 몰리게 된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이와 때를 같이해 평안북도와 마주한 중국 료녕성 단둥지역에서도 중국 공안과 해방군 합동 경비대가 무장한 채 국경 감시를 대폭 강화했다는 소식을 중국 대방으로 부터 들었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현재 단둥지역의 국경경비를 맡고있는 무장군인들은 중국당국이 베이징에서 파견한 특수부대 군인들이라는 말을 들었다”며 “최고존엄이 중국을 거쳐 싱가포르로 떠나는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8일부터 조-중 국경경비가 한층 삼엄해 졌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관련 중국 대련에 주재하는 한 무역일꾼은 “조미수뇌회담이 준비되는 동안 국가보위성은 최고존엄의 이동에 관한 중요 사안은 모두 중국당국과 토의해서 결정한 것으로 안다”며 “특히 중앙에서는 회담이 진행되는 전 기간 내부 소요의 가능성에 대비해 조-중국경을 철저히 통제하도록 중국정부에 협조를 청탁(요청)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조미정상회담 기간에도 양국의 세관업무가 중단된 것은 아니어서 합법적인 무역은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하지만 지난 토요일(9일) 평양의 무역대표부로 부터 이 기간 동안은 절대로 밀무역을 시도하지 말 것과 무역일꾼들의 동선을 매 시간 단위로 보고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중국이 더 철저하게 국경을 지키고 있는 것”이라며 “중국당국은 자국의 밀수상인들이 조선으로 들어 가는 것을 미리 차단하려는 의도에선지 며칠 전 변경지역의 중요한 밀수조직에 대한 검거작전을 펴 상당수의 밀수범을 체포했으며 감금한 상태”라고 덧붙였습니다.